[사설] (3일자) 시민편익 무시한 버스노선 조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앙 버스전용 차로제와 간선노선 버스운행의 준공영화를 핵심으로 하는 서울시의 시내버스 교통체계 개편안이 자칫 '교통대란'을 일으키지 않을까 우려된다.
개편안대로 하면 적지않은 시내버스가 운행을 중단하게 되고, 시민들도 버스를 여러번 갈아타는 불편을 겪게 된다니 말이다.
특히 서울시 당국이 1천만 서울 시민들의 주요 대중교통 수단인 시내버스 운행체제를 전면적으로 개편하면서, 버스업체와 버스 이용객들의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밀어 붙이는 까닭을 도무지 이해하기 어렵다.
청계천 복원사업이 아니라도 만성체증에 시달리는 열악한 서울시내 교통망을 더이상 방치하기 어렵다는 데에는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리라고 믿는다.
그러나 이번 시내버스 개편안이 교통흐름 개선에만 초점을 맞춘 나머지 정작 버스 이용객들의 편의를 무시한 것은 앞뒤가 완전히 뒤바뀐 것이라고 본다.
서울시 당국은 간선노선의 운행속도가 아무리 빨라진다 해도 최종 목적지까지 가는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지 않는다면 무슨 소용이 있느냐는 지적에 귀기울여야 마땅하다.
개편안은 시내 교통 흐름을 빨리하기 위해 간선노선 버스의 도심진입을 제한하는 것으로 돼 있는데, 일반 승용차의 도심진입부터 먼저 막는 것이 순서라고 생각한다.
청계천 복구사업이 시작되면 그 여파로 더한층 심해질 교통난에 대처하기 위해선 대중교통수단 이용을 대폭 높이는 수밖에 없다는 현실여건에 비춰 보면 이는 너무나 당연하다.
또한가지 강조할 점은 마을버스 지선버스 등이 도심을 지나는 지하철이나 간선버스와 잘 연결돼야 시내 교통 흐름이 원활해지는데, 서울시 개편안은 이점에 대한 대비가 매우 소홀하다는 인상을 주고 있어 문제다.
난마처럼 얽힌 서울시 대중교통망을 뜯어 고치는 건 정말 어려운 과제다.
서울시는 청계고가도로 철거시기를 뒤로 미루더라도 폭넓은 여론수렴과 면밀한 검토를 위해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