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김포시 일대 토지시장이 뜨거운 열기를 뿜어내고 있다.


이곳 토지를 사려는 외지인의 발길이 부쩍 늘면서 가격도 큰 폭으로 치솟고 있다.


신도시 후보지 가운데 하나로 꼽히고 있는 데다 양곡지구와 마송지구가 지난 3월 말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된 점이 투자자를 불러모으고 있다.


◆양촌면·대곶면 일대 토지 시장 활황=최근 들어 토지전문 중개업소가 밀집한 양촌면 양곡리에는 서울 번호판을 단 자동차들이 꼬리를 물고 있다.


모두 이 일대 땅을 사기 위한 투자자들이 타고 온 차들이다.


이들 외지인이 이곳 토지 매물을 적극적으로 매입하면서 가격도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큰 길 옆의 관리지역(옛 준농림지) 땅값은 위치에 따라 평당 40만∼80만원선을 호가하고 있다.


절대농지 가격도 평당 20만원 이상에서 형성되고 있다.


특히 강화도로 진입하는 352번 국도를 끼고 있는 관리지역 토지의 호가는 평당 2백만원에 육박한다.


투자자들이 주로 몰리는 곳은 역시 신도시 후보지 외곽으로 거론되고 있는 지역들이다.


신도시 외곽지역의 경우 택지로 수용이 되지 않는 대신 개발압력이 밀려오는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곳 A공인 관계자는 "양촌면 양곡리 석모리 구래리 등이 신도시 후보지라는 소문이 돌고 있다"며 "이에 따라 이들 주변 지역 토지를 찾는 외지인들이 크게 늘고 있다"고 말했다.


C공인 관계자는 "지하철 9호선과 올림픽대로를 연장하면 교통 문제가 쉽게 해결되기 때문에 김포지역이 신도시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투자자들이 많다"고 전했다.


RE멤버스의 고종완 소장은 "김포 토지시장은 토지 투자자들 사이에서 수도권의 마지막 남은 미개척지로 통하고 있다"며 "재료를 이용해 투기세력이 몰리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과열에 휩쓸리면 낭패 볼 수도=김포지역의 경우 군 부대가 많아 건축규제가 심하다고 부동산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 때문에 신도시 예정지 주변 땅을 사더라도 활용도가 낮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현재로서는 신도시로 지정되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관리지역 토지에 대한 건축규제가 심해졌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무엇보다 전문가들은 "김포지역 땅값에 거품이 너무 심하게 끼었다"고 강조한다.


올 들어 지속적으로 상승 곡선을 그렸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다간 상투를 잡을 수도 있다는 조언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의 투자열풍은 일부 작전세력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며 "일반 투자자들이 섣불리 덤벼들었다가는 낭패를 볼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