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운송하역노조 화물연대 부산지부가 9일 포항 철강화물의 운송료인상 협상이 잠정합의로 정상화단계에 접어든 것과 상관없이 사실상 파업에 돌입,부산컨테이너 부두가 사실상 기능정지 상태다. 부산 조합원들은 이날 오전부터 경기도 의왕 컨테이너 기지등의 운전사들에게 유무선으로 연락해 전국의 컨테이너 트럭운행을 저지시켰다. 부산지부 소속 조합원 1백여명은 양산일대 고속도로 진입로에서 시위를 벌였다. 조합원들은 정부와의 협상이 타결될 때까지 시위를 계속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날 조합원들의 시위여파로 경인지역 등에서 반입되던 물량이 끊겨 전국 최대물량을 처리하는 신선대부두의 경우 하루 4천3백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를 처리하던 물량이 7백여개로 84%이상 줄어드는 피해가 발생했다. 인근 감만부두에 입주한 한진터미널의 경우 하루 평균 1천여개를 처리했으나 이날 30여개만을 처리했다. 이 부두의 허치슨 대한통운 등 다른 업체도 마찬가지였다. 우암부두와 감천항 부두도 평소 물량의 10%만을 처리해 사실상 부산항이 마비상태에 빠졌다. 이같은 사태는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경부고속도로 양산 진입로와 기장체육관 앞 등 컨테이너 차량이 운행하는 주요지점을 막고 통행을 방해해 부산으로 오지못하고 되돌아간 데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전남 광양항 컨테이너 부두도 화물연대 광주·전남지부 소속 컨테이너 운반 차량들의 운송거부로 이날 오후부터 완전 마비상태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매일 평균 1천2백여대의 트레일러에 의해 운반됐던 3천3백여TEU의 컨테이너 유통이 중단됐다. 화물연대의 조합원들은 10일에도 파업을 계속할 것으로 알려져 피해는 더욱 확산될 것으로 우려된다. 화물연대 관계자는 "포항의 협상타결과경유값 인하 등 정부와의 일괄협상은 전혀 별개"라고 말했다. 화물연대와 정부간 협상에서 논의될 경유세와 고속도로 통행료 인하 문제 등 4∼5가지 핵심사안도 양측의 시각이 너무 엇갈려 조기합의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양측이 가장 큰 입장차이를 보이고 있는 쟁점은 '경유세 인하'와 '고속도로 통행료 인하 부분'이다. 정부는 경유에 부과되는 교통세 면제 등의 요구는 에너지 세제의 기본을 흔드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없으며 업종 간 형평성 측면에서도 사업용 화물차에 부과되는 경유세만 인하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