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통상부가 "우리문화 알리기"의 일환으로 올해부터 재외공관(公館)에 우리 미술품을 설치키로 했다. 올해 미술품 구입비로 5억원의 예산을 확보,프랑스 이탈리아 이스라엘대사관 공간에 적합한 한국화와 서양화 작품의 선정작업을 벌이고 있다. 제네바대표부 유엔대표부 영국대사관 등 3곳은 이미 한국 미술품으로 단장을 완료한 상태다. 외통부는 앞으로 5년동안 매년 5억원의 예산을 집행,전세계 1백30여 공관 중 50여곳에 한국 미술품을 설치해 '문화 외교'에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재외공관은 '문화 불모지'=우리나라 재외공관은 그동안 정부의 예산 부족과 외교관들의 문화에 대한 인식 결여 등으로 '문화 불모지'와 다름없었다. 덴마크 대사와 베네수엘라 대사를 역임하고 현재 외통부 미술자문위원으로 있는 임명진 전 대사(75)가 들려주는 재외공관 실태는 '문화 후진국'의 현주소를 여실히 보여준다. "개인적으로 기증받은 작품을 대사관에 거는 경우는 그나마 다행입니다. 부끄러운 얘기지만 몇년 전만 해도 그림달력을 오리거나 아니면 복제품을 내다 건 대사관이 적지 않았습니다." 국내외에서 개인전을 다섯번이나 가졌던 임 전 대사는 "선진국에 비해 20∼30년 뒤졌지만 정부가 재외공관을 한국문화 알리기의 교두보로 활용키로 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라고 말한다. 외통부 문화외교국의 손선홍 사무관은 "미술품 구입은 90년대 후반에 추진했지만 IMF사태로 늦어지게 됐다"며 "올해부터 매년 10개 내외의 공관에 한국 그림을 설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적 이미지 강한 작품 구입=미술품 구입은 현재 이대원 화백과 이두식 홍익대 미대 학장 등 미술계 인사 7∼8명이 참여한 미술자문위원회(위원장 이대원 화백)의 심의를 거쳐 결정하는데 중견 또는 신진 유망작가의 작품 중 한국적인 이미지가 담긴 작품을 주로 구입할 예정이다. 이 위원장은 "한국 미술품을 홍보한다는 차원에서 작가들의 협조를 얻어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미술품을 구입하고 있다"며 "연간 50점 이상의 그림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성구 미술전문기자 s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