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ㆍ중기 '윈 윈'] 포스코 : 공동연구 통해 "함께 산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포스코는 공인받은 일류기업이다.
철강생산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앞으로 상당 기간 포스코 앞에 '위협적인 라이벌'이 출현하기 힘들 것이라는게 철강업계의 중론이다.
미국의 경제잡지 포브스가 올해 선정해 발표한 세계 초우량 5백대 기업에도 포스코는 들어있다.
포스코는 기업 규모 만큼이나 중소기업에 직·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포항에 위치한 공장만 해도 서울 여의도 3배가 넘는 부지를 가지고 있다.
첨단 설비로 무장한 제선공장(쇳물을 뽑아내는 공장)과 제강공장(다음 단계로 철강제품을 제조하는 공장)등과 관련된 중소기업을 비롯해 소모품 공급,물류,부산물 재활용 공정 및 서비스등을 공급하는 분야에서 연계돼 있는 중소기업들이 많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중소기업에 대해 일반적인 거래에만 그치지 않고,보다 깊이있는 협력방안을 모색해왔다.
포스코가 지난 1999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중소기업 공동 연구개발제도'가 뿌리를 내리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포스코가 개발할 필요가 있는 기술중에서 중소기업에서 상업화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연구과제를 선정해 공동으로 연구하는 제도"라고 설명했다.
포스코는 연구비의 50%정도를 분담한다.
만약 중소기업들이 다수 참가할 경우엔 중소기업별 연구비 분담은 작아진다.
이 관계자는 "포스코기술연구소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항공과대학등이 주관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중소기업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혁신적인 기술 탄생을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의 결과물인 지식재산권 및 노하우 등은 포스코와 중소기업들의 공동소유가 된다.
포스코는 기자재 국산화 및 새시장 개척이라는 소득을 얻는다.
물론 중소기업은 매출액증대같은 경영상의 직접적인 이익을 얻은 윈-윈(상생) 게임이 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포스코 관계자는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이 아닌 윈-윈을 위한 순수한 협력"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기반에서 중소기업과의 관계를 정립한다는 얘기다.
이 공동연구의 주요 개발 분야는 △포스코가 필요한 기자재 △장치 개발 △에너지 절감기술 △철강재 수요를 확충할 수 있는 기술 등이다.
구체적으로 기자재 개발분야는 포스코가 사용하는 자재나 원료의 품질을 향상시키거나 국산화하는 것이다.
장치개발은 계측기기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인한 품질향상(또는 국산화)등을 포함한다.
중소기업들은 공동연구 성과가 좋을 경우엔,포스코에 2년정도의 안정적인 납품권을 따낼 수 있다.
포스코는 중소기업공동연구개발제도에 따라 지난 99년 이후 현재까지 모두 60건의 연구과제가 선정됐다고 밝혔다.
공동연구를 위해 포스코는 1백5억원을 투자했다.
또 79개 중소기업이 참가해 모두 43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공동연구개발제도에 따라 초창기인 지난 99년 4월 포스코는 14개 중소기업과 다양한 연구과제를 선정해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
이 당시 △로자산업(금속기기 최적 시스템 개발) △평산공영과 영신공영(철강재 사방댐 구조개발) △삼광시스템(철제 붙박이장 개발) △정호실업(금속가구용 접착제 국산화) △중앙산업사(용접조립형 철강재 태양열 집열기 개발) △세동철강(스틸하우스용 스터드 생산자동화기술 개발) △욱영전해시스템(고효율 해수전해용 도금전극 개발) △광성고무롤(냉연 PL링거롤 과 STS압착롤 수명연장 연구) △한보프로텍과 우신화학(스테인리스 제품 심가공용 보호필름 개발) △대헌기계(연주 몰드의 수명향상을 위한 복합도금법 개발) △쓰리알(산업용 전기자석 필터 개발) △동훈자원(2차 정련용 래들 슬래그를 활용한 제강정련용 플럭스개발)등이 참가해 비교적 양호한 성과를 거두었다.
포스코 관계자는 "중소기업 공동연구 제도는 생산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자금과 인력 및 판로 등을 확보하지 못해 애로를 겪고 있는 유망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동시에 포스코도 필요한 기술을 적기에 확보함으로써,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장기적인 측면에서 상호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협력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양홍모 기자 y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