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천억원 부산항 환적화물시장'이 화물연대 파업으로 최대위기를 맞고 있다. 화물연대 파업사태로 부산항이 마비되면서 부산항을 거쳐 제3국으로 가는 환적화물이 경쟁 항만인 중국의 상하이나 일본의 고베항 등으로 빠져나가고 있다. 환적서비스는 '허브'항만의 핵심기능이다. 항만경쟁력은 환적화물 취급량으로 판가름난다. 항만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외국선사들은 부산 환적을 기피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부산항의 '동북아물류중심'비전은 공염불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 한진해운은 지난 13일 부산항 감만부두 한진터미널과 감천항 한진터미널이 적정장치능력을 초과함에 따라 부산항이 정상을 되찾을 때까지 자사 보유 선박의 부산항 기항을 중단하기로 했다. 감천항 한진터미널에 입항 예정인 한진피닉스호와 감만 한진터미널에 들어올 바이칼세나토호의 기항지를 각각 광양항과 중국 상하이항으로 변경했다. 외국적 선사들은 부산항의 항만 기능 마비로 모선의 기항이 여의치 않다고 판단,기항지 변경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파업의 피해가 커져 가고 있다. 부산항의 환적 컨테이너 화물 처리량은 지난해 3백89만개로 전체 9백45만개의 41.1%를 차지했다. 환적화물을 한개 처리할 경우 항만시설사용료 화물입출항료 등 정부가 받는 돈과 하역업체와 선박대리점들이 벌어들이는 수입을 합치면 20만5천원이 떨어지는 점을 감안할때 부산항이 지난해 환적화물로 벌어들인 수입은 7천9백75억원으로 추산된다. 특히 환적화물을 처리하기 위해 부산을 드나드는 대형선박 및 회사들에 따라붙는 부가적인 수입도 연간 3천억원대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환적 서비스는 일반컨테이너 화물서비스보다 부가가치가 2.5배나 높기 때문에 부산과 싱가포르 상하이 고베 등 동아시아 국제항만들간에 유치경쟁이 갈수록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부산항은 파업사태로 환적물량이 평소의 10%로 급감했다. 방정규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항만물류실장은 "중국에서 유럽으로 가는 화물이 부산에서 환적할 경우 중국과 유럽의 선박들이 부산항에 반드시 기항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환적화물 유치는 부산항이 '허브'항으로 커나가는 핵심인 만큼 장기파업으로 이 기능이 취약해지면 부산의 미래는 암울해진다"고 우려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