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 Strategy] 3백야드 안팎의 짧은 파4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상황
골프장마다 파(par)에 비해 길이가 짧은 홀이 있다.
이른바 '쇼트 홀'이다.
파4의 경우 길이가 2백60∼3백20야드 정도다.
남서울CC 12번홀,뉴서울CC 남코스 4번홀,레이크사이드CC 동코스 1번홀,제일CC 남코스 5번홀 등이 대표적이다.
이런 홀에 다다르면 골퍼들은 '파 또는 버디'를 연상하곤 한다.
그러나 결과는 생각과 다르다.
◆전략
설계가들은 짧은 파4홀이라고 하더라도 결코 만만하게 조성하지 않는다.
길이가 짧은 대신 다른 방법으로 난이도를 조절한다.
페어웨이가 좁다거나,그린주변에 트러블이 많다거나,그린자체가 어렵다거나 하는 식이다.
대개는 1온을 견제하기 위해 그린주변으로 갈수록 '위험 지대'가 많게 마련이다.
따라서 '쉽게 파를 하겠지'하는 생각으로 접근해서는 안된다.
긴 파4홀과는 다른 전략을 짜야 한다.
그 전략은 티샷용 클럽선택에서 시작된다.
길이가 짧은 만큼 무리할 필요가 없다.
어차피 1온이 안된다면 위험성이 높은 드라이버를 잡을 이유가 없다.
전체 거리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어프로치샷 거리를 뺀뒤 나머지 거리만 보내면 된다.
길이가 3백야드이고 자신은 피칭웨지로 1백야드 어프로치샷을 잘 한다면 티샷은 2백야드만 보내면 되고 그에따른 클럽선택을 하면 된다는 얘기다.
클럽선택을 했으면 티샷을 정확히 페어웨이에 떨어뜨리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세컨드샷을 계획한대로 날릴 수 있기 때문이다.
짧은 클럽으로 티샷을 했는데도 볼이 러프에 멈추면 2온을 단념해야 할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
볼이 페어웨이에 안착하고 세컨드샷도 1백야드 안팎 남으면 골퍼들에겐 또다시 '방심'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짧은 어프로치샷이라도 집중하지 않으면 볼은 그린을 벗어나는 것이 골프의 진리다.
◆멘털 포커스
자만은 금물이다.
'짧다고 어디 쉬운가'라는 말을 명심해야 한다.
세컨드샷을 무난하게 처리해 두 번만에 볼을 그린에 올리더라도 겨우 50%를 마친 것이다.
2퍼트로 홀아웃을 해야 '귀중한' 파를 잡을 수 있다.
마지막까지 마음을 놓지 말라는 뜻이다.
첫 퍼트거리가 5m이상이면 버디 대신 볼을 홀주변에 붙여 파로 막겠다는 마음가짐이 파를 잡는 지름길이다.
김경수 기자 ksm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