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개로 분리운영돼 온 증권.선물시장을 통합거래소로 단일화하는 시장개편안을 확정하자 관련 기관간 입장이 크게 엇갈렸다. 증권거래소는 16일 증권거래소, 코스닥시장, 선물시장의 단일운영주체로 주식회사한국거래소(가칭)를 부산에 설립한다는 시장개편방안에 대해 '정부의 결정을 적극 지지한다'는 공식 의견을 냈다. 거래소는 통합거래소가 비효율적인 지주회사 방식의 통합안보다는 낫다는 입장이기 때문에 애초 주장해온 증권거래소 중심의 통합안보다는 미흡하지만 차선책으로서 이를 적극 수용하겠다는 분위기다. 이는 선물거래소의 존립을 우려하는 부산지역 정서와 코스닥증권시장, 선물시장의 반발을 고려할 때 이 정도 수준이면 적당하다는 정서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코스닥증권시장과 증권업협회는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코스닥증권시장과 증권업협회는 현.선물 통합과 시장 경쟁력 강화에는 원칙적으로 찬성하지만 통합거래소로 단일화되면 벤처기업 지원이라는 코스닥 고유의 역할과 그동안 쌓아올린 노하우가 소멸되기 때문에 반대한다고 말했다. 코스닥증권시장 관계자는 "시장개편은 시장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돼야 하지만 코스닥을 없애고 통합시장을 만들게 되면 벤처산업지원 등 코스닥의 역할과 차별성을 잃게 된다"고 밝혔다. 증권업협회 관계자도 "신시장을 구시장과 통합했을 때 성공적 결과를 얻는 경우가 드물다"며 "단일시장 독점으로 효율성이 떨어지고 코스닥시장의 특성과 노하우 등이 없어지기 때문에 경제논리 측면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한 결정"이라고 주장했다. 선물거래소도 정부의 거래소 통합안에 강력 반대하며 내년 1월로 예정된 상장지수 선물을 일정대로 이관할 것을 촉구했다. 선물거래소는 이번 시장통합안이 증권거래소 등 일부 이해당사자의 입장만을 반영한 것이라며 위험관리시장인 선물시장은 자본시장과 제도나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독자적인 발전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물거래소는 지난달 `시장통합저지 비상대책위원회'를 이미 구성했으며 이번 정부안에 대해 전 임직원이 나서 반대투쟁을 벌일 방침이다. 선물업계도 역시 정부의 통합안에 반대하고 있다. 선물협회는 정부의 통합안이 법으로 정해진 상장주식선물 이관을 무산시키려는 증권거래소의 입장을 대변한 것으로 선물시장의 퇴보를 가져오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한승호.정윤섭.신호경기자 hsh@yna.co.kr jamin74@yna.co.kr shk99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