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에서 열리고 있는 제5차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에서 남측 대표단은 북핵문제가 더 이상 악화되지 않고 식량분배의 투명성이 확보될 경우 쌀지원을 포함한 경협현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북에 전달했다. 북측은 이에 대해 동포애와 인도적 차원에서 쌀 50만t을 지원해줄 것을 남측에 요청했다. 남측 수석대표인 김광림 재정경제부 차관은 20일 평양 양각도 국제호텔에서 열린 남북경협위 1차 전체회의에서 "남북간 경제협력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서는 북한 핵문제가 악화되지 않아야 한다"며 핵문제해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차관은 또 "북측에서 요구하는 쌀지원문제를 성사시키기 위해서는 북측 주민들에게 직접 돌아가는지를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며 식량배분의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에 대해 북측과 협의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는 또 "노무현 대통령의 미국 방문 이후 대북정책의 기조가 바뀌지 않았느냐는 우려가 있으나 기본원칙에는 변함이 없다"며 "핵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북측 수석대표인 박창련 국가계획위원회 제1부위원장은 "남북간 협상은 6.15 남북공동성명 정신에 입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노 대통령의 방미결과에 대해서는 "새 정부의 대북정책방향이 무엇이냐"고 의문을 제기하는 등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그러나 박 부위원장은 핵문제에 대해 더 이상 언급하지 않아 핵문제와 경협을분리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금강산 관광사업에 대해서는 남측이 조속한 재개를 요구한 반면, 북측은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임진강 수해방지사업은 남측에서 홍수기 이전에 공동조사를 착수하고 상류댐인임남댐(금강산댐) 수위를 낮춰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북측은 임진강 수방사업 자체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 개성공단 건설착공식과 경의선,동해선의 철도.도로 연결행사에 대해서는 세부적인 일정에서 입장차가 있을 뿐,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데는 합의했다. (평양=연합뉴스) 공동취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