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0일 열릴 현대증권 정기주주총회에선 대주주와 노동조합의 표대결이 예고되고 있다. 문제는 지난13일 현대증권 이사회가 김지완 현 부국증권 사장을 신임 사장으로 내정하면서 비롯됐다. 현대증권 노동조합은 이번 주총에서 김지완 사장의 이사 선임 안건을 부결시키기 위해 소액주주 지분 확보에 나섰다. 노조측은 지난 19일 금융감독원에 의결권 대리권유 신고를 마쳤고 전국 각 지점을 돌면서 의결권 투쟁의 당위성을 설명하는 등 바삐 움직이고 있다. 부국증권에서만 27년을 일해 현대증권과는 별 인연이 없던 김지완씨를 현대증권이 '모셔오려는' 것은 그만한 이유가 있다는게 증권업계의 분석이다. 김 사장내정자는 부산상고 출신으로 노무현 대통령의 고교 2년 선배라는 배경이 작용했다는 것.금융당국의 고위 인사는 "현대증권이 시대착오적인 인사를 되풀이하고 있다"며 불편한 심기와 함께 이번 인사의 배경을 정치적으로 해석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임기를 1년 남기고 물러나게 된 조규욱 현 사장만 하더라도 선임당시 DJ정권의 실세였던 권노갑씨의 처조카라는 점 때문에 논란이 일었다는 점도 무관치 않다. 김지완 현대증권 사장 내정자는 최근 "현투증권 정상화를 위해 현대증권을 매각하는 것은 과정상 오해의 소지가 있고 재산권 침해 등 법적으로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그가 현대증권 사장으로 오게 된 배경을 짐작케 하는 발언이다. 현대증권 매각문제를 놓고 현대그룹과 정부 사이에 신경전이 다시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시장의 우려도 나오고 있다. 현대측이 현대증권의 독자생존을 고집한다면 푸르덴셜과 가까스로 양해각서(MOU)를 맺어놓은 현투증권 매각문제도 불투명해질 수 있다. "팔릴 처지에 놓여 있는 회사가 독자생존하겠다면 반대할 노조가 어디 있겠습니까"라고 반문하는 이 회사 노조 관계자는 "비상식적인 인사에 대해 할 말은 해야 한다는게 노조의 기본 입장"이라고 말했다. 현대증권이 이런 직원들의 목소리를 언제까지 외면할 수 있을지 궁금하기만 하다. 박민하 증권부 기자 haha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