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수 지방자치단체들이 경제성과 타당성 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무리하게 지역사업을 추진,혈세를 대거 낭비한 것으로 감사원 감사 결과 드러났다. 감사원이 지난해 8,9월 광주광역시 등 7개 시·도와 서울 성북구 등 27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실시해 22일 발표한 '공공개발사업 추진실태 감사 결과'에 따르면 34개 지자체에서 무리하게 추진에 착수했다가 중단된 사업이 16건(총사업비 3천7백86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단된 대규모 주요 사업은 △대전 동서로 확장공사(사업비 1천4백31억원) △대전 금병로 확장공사(8백20억원) △대전 국도 17호 금산선 확장(3백83억원) △대전 벌곡길 확장공사(2백48억원) △수원시 영상테마파크 조성사업(2백39억원) 등으로 대전시가 가장 많았다. 또 △충남 춘장대 해수욕장 관광지 개발(1백9억원) △파주시 평화생태공원 조성사업(1백3억원) △마산시 구산해양관광단지 조성사업(89억원) △김제시 쇼핑센터 건립사업(78억원) 등도 부실하게 사업이 추진됐다. 이에 따라 감사원은 주무부처인 행정자치부 장관에 대해 해당 사업을 추진한 시·도지사에게 엄중 주의할 것을 지시하고 민간투자자 확보 등 사업 정상화 방안을 강구토록 통보했다. 감사원 관계자는 "이들 사업은 대부분 사업 착수만 했고 예산을 확보하지 못하는 바람에 사업이 중단된 것으로 사업을 재개하지 않으면 투입된 사업비를 고스란히 낭비하게 되고 사업을 재개하더라도 상당한 추가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감사원은 특히 지난해 7월 출범한 현행 민선 3기 자치단체장들도 38건(총사업비 4조3천1백45억원)의 신규 사업을 추진 또는 계획하고 있어 사전에 사업 타당성 및 추진 가능성에 대한 철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