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노무현 대통령의 첫 일본 방문에서는 세 가지가 주요 의제로 협의될 전망이다. 무엇보다 북한 핵문제에 대한 평화적 해결을 위한 한·일 공조체제를 구축하고,이에 대한 일본 조야의 지지를 얻어내는 일이 절실하다. 두 번째는 한·일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논의를 중심으로 하는 양국의 경제협력 강화방안이다. 마지막으로 새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동북아 경제중심 구상에 대한 일본의 지지와 협력을 얻어내는 것이다. 이들 세 가지는 앞서 한·미 정상회담의 연장선상에 있는 국정과제들.이 과정에서 노 대통령은 새 정부의 외교정책을 자세히 설명하면서 정치 경제 문화 각 부문에서 한·일간 친목강화와 두 정상간 신뢰구축에 힘쓸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가운데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한반도 및 동북아 안정화 추진은 일본도 필요성을 크게 공감하고 있는 부분이다. 경제부문에서는 △FTA체결 여건 조성을 위한 양국간 노력 외에 △한·일 투자협정 발효에 따른 일본의 대한(對韓)투자 확대를 추진하고 △사회보장협정과 상호인정협정의 체결 교섭을 가속화하는 방안이 모색될 전망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경제 5단체장과 일부 재계 총수들에게 동행을 요청했다. 이미 전경련을 중심으로 동행 경제인 인선에 들어갔는데,규모는 방미 때보다 훨씬 줄어들 것이라고 청와대 관계자가 전했다. 노 대통령은 다음달 7일 오전 한·일 정상회담에 참석한다. 또 8일 일본의 게이단렌 등 경제단체가 공동 주최하는 오찬에 참석,투자확대 등 민간부문의 경제협력 증대를 요청한다. 노 대통령은 방일 사흘째인 8일 오후 이례적으로 일본TV(TBS)방송을 통해 '일본국민과의 대화 시간'이라는 이색적인 일정도 잡아 놓고 있다. 이번 노 대통령의 방일은 6월6일 현충일에 이루어지고,같은 날 일왕 주최의 만찬까지 예정돼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청와대측은 노 대통령,일왕,일본 총리의 일정을 모두 감안한 국빈방문이어서 불가피하다고 해명하고 있으나 벌써 날짜에 대한 따가운 시선이 있다. 한편 한·일간 과거사 문제와 관련,반기문 외교보좌관은 "기본적으로 신사참배 문제가 거론될 가능성이 높으며,과거사 문제는 98년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방일때 마무리된 것으로 이해하고 있어 일왕과의 면담에선 거론되지 않을 것이나 고이즈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는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