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실시한 쟁의행위 찬반투표가 부결된후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이하 전공노)이 내부적으로 혼란에 휩싸이고 있다. 전공노는 26일 오후 9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중앙위원회를 열어 찬반투표 결과를 부결로 인정할지 여부를 논의했으나, 이에 앞서 이날 오전 이용한 사무총장이 사무총장직을 사퇴했다. 이용한 사무총장은 조합 홈페이지에 올린 글을 통해 "이번 투표는 서울.경기 등투표 방해행위가 심했던 지부를 제외한다면 분명한 승리"라면서도 "책임은 통감한다"고 사퇴 이유를 밝혔다. 이런 가운데 전공노 홈페이지에는 "투표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집행부가 책임지고 사퇴해야 한다"는 의견과 "정부.지자체의 방해가 극심했던 만큼 투표 자체를원인무효화하거나 쟁의행위 가결로 해석해야 한다"는 상반된 의견이 수백건씩 올라오는 등 일반 조합원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한 조합원은 "이번 투표의 시기와 방법에 대해 많은 조합원의 질타가 있었지만집행부가 밀어붙이기식으로 투표를 강행했다"며 "공무원노조 출범 후 최대 위기를맞게 한 집행부는 책임을 지고 총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투표 결과와 함께 조합 출범후 몇차례 제기돼온 집행부의 회계관련 의혹 등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반면 투표 부결을 인정하지 않는 조합원들은 전공노가 자체 규약 제62조를 통해'조합의 쟁의행위는 재적조합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결의한다'고 정하고 있으나 이번경우는 투표 방해행위가 극심한 비상 상황이었던 만큼 규약을 그대로 적용할 수는없다고 주장했다. 이번 투표에서 전공노 재적조합원 8만5천685명중 투표 참가자 수는 65.46%인 5만6천87명이고 이 가운데 찬성이 71.27%인 3만9천97명으로 재적 조합원 대비 찬성률은 46.65%로 과반수를 넘기지 못했다. 전공노는 이날 중앙위원회의 결론이 나는대로 27일 오전 투표결과 수용 여부와향후 투쟁계획 등을 공식 발표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투표결과와 상관없이 파업 찬반투표를 주도한 전공노 집행부 19명에 대한 사법처리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경찰은 이날까지 3차례에 걸쳐 이들에 대한 출석요구서를 보냈으나 거부해 이날밤이나 27일 오전중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검거에 나설 가능성을 시사했다. (서울=연합뉴스) 조채희기자 chae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