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교육부의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전면 재검토 결정에 반발,27일 윤덕홍 교육부총리의 퇴진을 요구하는 연가투쟁도 불사하겠다고 밝히는 등 NEIS를 둘러 싼 갈등이 걷잡을 수 없이 번지고 있다. 교육부 직장협의회도 이날 성명서를 발표,"목소리가 큰 특정단체의 집단 이기주의적 소수 의견에 좌우된 부총리의 일방적인 NEIS 재검토 결정은 인정할 수 없다"며 NEIS를 원래대로 시행할 것을 요구했다. 교총은 이날 NEIS 관련 전국 시·도 교총 회장단 긴급 회의를 열고 "정당한 절차를 따르지 않고 전교조와 밀실야합의 정치논리로 NEIS 문제를 결정한 윤 부총리는 이달말까지 자진사퇴하라"며 "부총리가 물러나지 않을 경우 부총리 퇴진과 학교종합정보시스템(CS) 복귀 저지를 위해 가능한 모든 방법과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교총은 이를 위해 28일부터 '교육부 장관 사퇴를 위한 범국민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다음달 7일 교육부총리 사퇴 및 교육정상화를 위한 대규모 집회를 열 계획이다. 또 부총리가 물러나지 않을 경우 최후 수단으로 연가투쟁도 불사하겠다는 강경 의지를 표명했다. 학부모단체인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도 이날 윤 부총리의 퇴진을 강력히 요구했으며 전국 시·도교육위원들도 교육부 결정에 항의,재고를 요청했다. 반면 정작 NEIS 재검토 결정을 내린 교육부는 일선 학교에 납득할 수 있는 지침을 마련하지 못해 고심하고 있다. 고교 2학년생 이하에 대해 'NEIS 이전 체제'를 적용하도록 결정했지만 CS나 단독컴퓨터(SA),수기(手記) 등으로 학사업무를 처리하기엔 현실적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우선 CS는 NEIS보다 보안이 취약해 인권침해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게 교육부의 주장이다. 교육부는 보안 체제를 NEIS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보안설비나 전산전문인력을 갖추는 데 최소 8천4백억원에서 2조2천억원이 들 것으로 보지만 연말에 가서 어떻게 바뀔지도 모르는 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집어넣을 수도 없는 상황이다. 윤 부총리가 연말까지 NEIS 전면 시행여부를 재검토하겠다고 밝힌 마당에 CS의 보안체제 강화에 자금을 투입할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6개월이 지나면 폐기될 게 뻔한 SA나 수기로 학사업무를 보도록 요구하는 것도 무리다. SA는 컴퓨터 운영체제로 치면 도스(DOS)에 해당할 정도의 초기 버전 프로그램으로 교사들에게 프로그램 사용법을 가르치는 데에만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교육부 실무 담당자는 "일선 학교에서 고2 이하 학생에 대해서 NEIS로 업무를 본다고 해도 현실적으로 이를 제재할 수가 없다"며 "설령 교육부에서 세부 지침을 마련한들 일선 학교에서 받아들일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방실 기자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