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수입 줄어 경기 역효과 ‥ LG硏, 콜금리 인하 영향 분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은행이 콜금리를 인하함에 따라 앞으로 가계의 순이자수익(이자수입-이자비용)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LG경제연구원은 29일 '금리 인하로 인한 가계의 득과 실'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은행 등 금융회사들이 예금금리를 0.5%포인트, 대출금리를 0.25%포인트 각각 낮출 경우 가계의 순이자수익 감소액은 연간 2조6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또 예금과 대출금리가 각각 0.5%포인트씩 동일하게 인하될 경우 연간 1조5천억원가량 순이자수익이 감소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가계가 보유한 금융자산은 총 9백80조원으로 이중 이자수입이 발생하는 금융자산은 7백49조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또 전체 금융부채(5백1조원) 가운데 이자비용이 발생하는 금융부채는 4백53조원으로 추산됐다.
따라서 가계부문이 약 3백조원에 달하는 순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어 예대금리 변동폭에 따라 순이자수익이 이같이 감소하게 된다는 것이다.
LG경제연구원은 "콜금리가 인하되면 은행들은 일반적으로 예금금리를 대출금리보다 더 큰 폭으로 내리는 경향이 있다"며 "가계가 금융부채보다 금융자산을 더 많이 보유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가계부문에서는 이자수입이 이자비용보다 더 크게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콜금리 인하로 인해 시중자금의 단기 부동화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지적됐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콜금리 인하 이후 예금금리가 더 낮아지면 장기 금융상품의 장점이 사라져 돈이 단기 상품에만 몰리게 된다"며 "다양한 투자상품의 개발을 유도해 단기 부동자금을 장기 투자자금으로 전환하는 금융당국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