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부터 전국 232개 시.군.구에 1개소 이상의 대규모 나눔장터가 개설된다. 또 1천가구 이상이 거주하는 아파트 단지에도 소규모 나눔장터가 들어선다. 환경부는 "나눔장터 운영을 위한 자율적 추진기반이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조성될 때까지 추진방향 및 지원대책을 적극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30일밝혔다. 이를 위해 1단계로는 232개 지자체별로, 2단계로는 1천가구 규모의 아파트단지를 대상으로 나눔장터를 개설, 운영토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전국 14개 지역에 나눔장터가 운영되고 있으나 자치단체의 추진의지 부족,민간단체와의 협조체계 미흡 등으로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전국 232개 자치단체의 추진실적을 내년 5월까지 종합평가한 후 우수사례로 꼽힌 시.군.구 10곳과 아파트 26곳에는 특별사업비를 지원하고 관계공무원과 시민단체에도 정부 포상을 실시할 계획이다. 우수사례로 꼽힌 시.군.구별 나눔장터 10곳에는 총 10억원, 아파트별 나눔장터 26개소에는 모두 2억6천만원의 특별지원을 계획 중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자치단체별 나눔장터가 활성화되면 거래실적은 10년간 1조1천600억원, 폐기물 발생량 감소에 따른 경제적 이익은 935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명숙 장관도 나눔장터 활성화를 위해 31일 과천 중앙공원에 개장되는 나눔장터에 나가 중고 생활용품을 기증하고 직원들과 판매활동을 할 예정이다. 한편 환경부는 공모를 거쳐 알뜰시장, 벼룩시장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던 중고 생활용품 거래시장의 명칭을 나눔장터로 확정했다. (서울=연합뉴스) 심규석기자 k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