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틈새로 본 부동산] 재개발 투자 "글쎄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재개발아파트 시장이 '5·23 부동산안정대책'을 비켜가는 바람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는 있지만 투자전망은 불확실해 보인다.
재건축과 달리 재개발사업은 선시공-후분양 대상에 묶이지 않았으나 현재 사업승인을 받지 않은 구역들은 오는 7월 시행예정인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정법)'에 따라 사업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렇게 될 경우 용적률이 현행 기준보다 크게 낮아져 사업계획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일부구역은 급격한 수익성 하락으로 사업자체가 어려워질 수도 있다.
또 이미 사업승인을 받은 단지는 조합원 지분값이 오를만큼 올라 있어 투자가치가 그리 높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현재 서울시내 재개발구역 가운데 사업승인을 받은 곳은 81곳,사업승인이 안 된 구역은 99곳에 이른다.
이들 단지 가운데 68곳은 아직 구역지정도 안 된 상태다.
서울시는 다음달 말까지 일반주거지역을 1·2·3종으로 분류해 확정 고시한다.
종별 용적률은 1종 일반주거지역이 기존 2백%에서 1백50%,2종은 3백%에서 2백%,3종은 4백%에서 2백50%로 각각 줄어든다.
종별 구분이 되지 않은 지역은 모두 2종으로 취급된다.
이 같은 용적률은 7월 초부터 적용된다.
따라서 7월 이전 사업승인을 못 받으면 용적률이 떨어져 조합원들의 추가부담금이 늘어날 수밖에 없게 된다.
섣불리 재개발아파트 투자에 나서서는 안 되는 까닭이다.
박영신 기자 yspar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