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세계기업들이 화인자본(華人資本)을 유치하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다. 특히 중국의 외환자유화 조치가 속속 발표됨에 따라 중국인 자본을 끌어오기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중국 본토 밖에 거주하는 중국인은 세계 인구의 1%선인 약 6천만명에 이른다. 이들은 아시아 1천대 기업 가운데 절반 이상을 소유 또는 운영하고 있을 정도로 세계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들 중국인이 다른 나라나 기업에 투자할 수 있는 자본은 2조5천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물론 국제금융시장에서 제1선 자금은 유태계가 갖고 있지만 2000년 이후 국제기채(起債)시장의 제1선 자금으로 중국계 자본이 유태계 자본을 제치고 급부상하고 있다. 화인자본은 국가보다는 자기 이익을 잘 지켜주는 국가를 투자처로 선택하는 경향이 강하다. 최근 들어서는 다른 자본과 마찬가지로 기존의 리스크 분산전략에서 벗어나 투자이익을 중시하는 생존전략으로 바뀌고 있는 점이 화인자본의 유치와 관련해 예의 주시해야 할 변화다.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화인자본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은 크게 두 가지 목적에서 비롯되고 있다. 하나는 미국과 일본계 자금과 달리 화인자본은 장기투자의 성격이 짙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가경제 발전과 기업자금 운용에 도움이 된다. 다른 하나는 세계 최대 시장으로 부각되고 있는 중국을 포함한 화인경제권과의 경제활동 및 교류가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자금사정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는 선진국 기업들이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화인자본을 유치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결국 앞으로 화인자본을 잘 활용하느냐의 여부에 따라 동북아 지역에 있어서 새롭게 부상하는 질서 변화에 뒤떨어지지 않고 각국 경제와 기업들의 앞날이 좌우될 가능성이 높다. 국내기업들이 혈연 지연 업연(業緣)을 중시하는 화인자본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화교들간에 구축돼 있는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화교조직으로 대표적인 것은'국제화교협회'와 '세계화상대회'를 들 수 있다. 국제화교협회는 1981년 설립된 이후 1백50개의 소규모 화교협회를 회원으로 두고 있으며 2년마다 정기회의를 갖고 있다. 세계화상대회는 세계 최대 규모의 화상(華商) 네트워크.회의 때마다 1천명 이상의 화상들이 참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이들 네트워크를 잘 활용하고 있는 곳이 일본이다. 일본 기업들은 90년대까지 유지해 왔던 단순한 정공법에서 벗어나 화교기업과 적극적인 연대를 통해 중국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특히 과거 중국 투자에 실패한 일본기업들이 기존의 중국에 대한 투자전략을 수정,화교 인맥과의 합작을 통한 연계진출 전략을 펼치고 있다. 중국시장 진출과 화인자본 활용을 계획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이 예의 주시해야 할 대목이다. 우리 내부적으로도 화인자본들의 국내투자를 가로막는 장애요인을 제거해야 한다. 물론 외환거래 자유화 계획 추진 이후 현재 모든 외국자본 거래가 자유로운 상태이긴 하다. 그러나 아직 국내기업들이 화인자본을 활용하는 데 있어 사회·경제적인 인프라를 포함해 많은 측면에서 미흡한 실정이다. 정부로서도 외자유치 정책에 있어서 갈수록 까다로운 조건을 내세우는 선진국 자본보다는 화인자본이 유치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 이런 정책이 그동안 문제로 지적돼온 미국을 포함한 특정국 중심의 편향적 대외정책 성향에서 벗어나 균형감을 회복하는 데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