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이라크전,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등의 여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에 세금감면 혜택을 주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건설교통부 관계자는 1일 "양 항공사에 세제 혜택을 주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하고 있다"며 "7월께 최종결론을 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건교부는 양 항공사가 보유한 항공기에 부과되는 취득세.농어촌특별세 면제 및 재산세 50% 감면 혜택이 올 연말로 끝남에 따라 이를 연장해주는 방안을 마련,최근 지방세를 담당하는 행정자치부에 협조공문을 보냈다. 지난 2001년 "3년간 한시적으로 적용한다"는 조건으로 마련된 특례조항을 통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매년 각각 2백30억원과 1백20억원 가량의 세금감면 혜택을 누렸다. 건교부는 이와함께 국내선용 항공유에 부과되는 관세 일부(90억원 상당)를 깎아주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재정지원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 ◆심상치 않은 항공사 경영 정부가 항공사에 대한 지원에 나서기로 한 것은 그만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의 경영이 심상치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라크 전쟁과 사스 확산으로 여행객수가 많은 중국과 동남아 항공노선이 직격탄을 맞으면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는 지난 1.4분기에 각각 1천8백억원과 5백95억원의 적자를 냈다. 2.4분기 들어서도 적자폭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대한항공의 평균탑승률은 지난 3월 68%에서 4월에 59%,5월에 57% 수준으로 계속 떨어지고 있다. 이는 예년의 탑승률보다 20% 이상 낮은 수준이다. ◆추가 구조조정 불가피 건교부는 지원 조건으로 두 항공사에게 자구노력을 할 것으로 주문했으며 항공사들은 최근 인력 감축 및 자산 매각 등을 포함한 구조조정 방안을 내놓았다. 건교부 관계자는 "양 항공사 모두 9.11테러 이후 꾸준히 인력감축과 자산매각을 해왔기 때문에 이번 구조조정 규모는 크지 않다"고 말했다. 대한항공은 최근 희망퇴직 형태로 2백여명의 직원을 퇴사시키는 한편 무급휴직제를 실시키로 했다. 추가적인 인력감축도 계획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보잉747기 2대를 비롯,모두 7대의 항공기를 연내 매각하고 안전관련 필수투자외의 일반투자 집행을 유보키로 했다.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그동안 워낙 많은 자산을 팔아치워 정부가 별도로 "요구"할 것이 없을 정도다. 아시아나항공은 그동안 기내식 사업부와 항공기 엔진를 매각했을 뿐만 아니라 지상조업 자회사인 AAS(아시아나공항서비스)도 매물로 내놓았다. ◆미래 매출채권까지 담보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3천억원 상당의 ABS(자산담보부증권)를 발행한데 이어 최근 산업은행을 주간사로 2천억원 상당을 조달하기로 했다. 대한항공도 엔화표시 ABS 3백60억엔어치를 발행할 예정이다. 양사는 미래 매출채권을 담보로 은행들로부터 대출을 받는 ABL(자산담보부 대출)도 활용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이 연초 2천억원 이상을 이 방식으로 빌린데 이어 대한항공도 상반기중 3천억원을 조달할 계획이다. 조일훈.오상헌 기자 ji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