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영국이 추진하고 있는 유엔개혁계획에 따라 빠르면 2005년까지 거부권을 갖지 않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 될 것이라고빌 라멜 영국 외무부 국무상이 2일 말했다. 라멜 국무상은 런던에서 가진 일본 교도(共同)통신과의 회견에서 유엔의 의사결정기구인 안보리 상임이사국 수를 현재의 5개국에서 일본을 포함한 10개국으로 늘리되 새로 추가되는 상임이사국들은 거부권을 갖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순번 이사국수를 현재의 10개국에서 14개국으로 늘려 안보리 이사국수를 현재의 15개국에서 24개국으로 늘리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라멜 국무상은 "안보리를 상임이사국 구성면에서 보면 아직도 2차대전의 결과라는 느낌"이라고 지적, "시대변화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여름이나 가을께 안보리 상임이사국들에게 제안될 이 계획에 따르면 일본과 독일, 인도와 함께 남미와 아프리카에서 각 1개국씩이 상임이사국이 된다. 라멜 국무상은 상임이사국중 영국의 계획에 반대의사를 표명한 국가는 없다고 전했다. 미국, 중국, 러시아, 프랑스와 함께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영국은 이 제안을 공식화하기 위해 오는 19일 안보리 상임이사국과 학계 및 비정부기구 대표들이 참석하는 세미나를 개최할 계획이다. 라멜 국무상은 "2-3년내에 일부 개혁이 이뤄지기를 희망한다" 면서 "우리가 이사국에 추가하기로 한 국가에 대해 해당 지역의 다른 국가들이 자신들이 이사국이 돼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기 때문에 (개혁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엔의 명성은 미국 주도의 이라크전과 관련, 군사행동 승인을 놓고 의견이 엇갈리는 바람에 `상처와 타격을 입었다'면서 안보리 상임이사국 수가 까다로운국제문제를 다뤄본 경험이 있는 국가들을 포함하도록 늘어나면 안보리의 신뢰도와타당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일본과 독일, 인도는 `까다로운 주요 국제문제들을 다룰 때 기꺼이 (해당)지역을 초월할 용의'를 보여준 `주요 지역 지도국'인데다 유엔의 평화유지활동에공헌했기 때문에 상임이사국으로 선택됐다고 덧붙였다. (런던 교도=연합뉴스) lh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