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두환 특검팀이 5일 김윤규 현대아산사장과 최규백 전 국가정보원 기조실장을 외국환거래법과 남북교류협력법 위반 혐의로 기소함에 따라 공소장을 통해 대북송금 실체의 전모가 점차 드러나고 있다. 공소장에 비춰보면 대북송금 과정에는 박지원 전 문화부장관과 이기호 전 청와대 경제수석, 임동원 전 국정원장 등 청와대.국정원 고위 인사들을 비롯, 현대와 금융기관 고위 인사 등이 대거 망라돼 있다. 공모자 중에는 현대측에서 정몽헌 현대아산 이사회장, 이익치 전 현대전자 사장,김충식 전 현대상선 사장 등이 포함돼 있으며 국정원에서는 김보현 당시 대북전략국장과 김홍보, 김낙풍씨 등이 개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김경림 전 외환은행장과 최성규 부행장, 백성기 당시 외환사업본부장 등도개입돼 있다. 이로써 `북송금'이 청와대와 국정원뿐만 아니라 현대와 금융기관 등 경협사업에관련된 기관들의 합작품인 것으로 특검팀은 보고 있다. `북송금' 자금은 모두 4억5천만달러로 일단 잠정 결론지어졌으며 이중 2000년 6월 9일 현대상선의 산은 대출금 가운데 2억달러가 중국은행을 통해 북한측 3개 계좌로 송금된 것으로 파악돼 있다. 또한 같은달 초순 현대건설의 1억5천만 달러가 해외지사를 통해 오스트리아, 싱가포르 등지에 개설된 북한측 8개 계좌로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 6월9일~12일 사이 현대측이 북에 송금한 4억5천만 달러는 그동안 청와대와 현대측이 언급한 북송금 5억달러와는 다소 차이가 난다. 특검팀은 5억달러와 4억5천만달러의 차액이 5천만 달러가 현대측이 현물 등 방식으로 제공한 자금인 것으로 추정, 구체적인 경위를 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조계창.김상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