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 이코노미] '국민총소득(GNI)'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 나라 국민들의 소득이나 후생수준을 파악할 때 가장 널리 쓰이는 지표가 '국민총소득(GNI)'이다.
GNI를 추계하려면 먼저 '국내총생산(GDP)'부터 계산해야 한다.
GDP는 1년 동안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각종 재화와 서비스의 최종 가치를 모두 더해 금액으로 표시한 것이다.
부가가치를 '누가' 생산했느냐에 주목하는 '국민총생산(GNP)'과 달리 GDP는 '어디에서' 생산됐는지를 따진다.
예컨대 삼성전자 미국 공장에서 생산한 부가가치는 한국의 GNP에는 들어가지만 GDP에선 제외된다.
반면 미국 맥도날드가 국내 매장에서 창출한 부가가치는 GNP에선 빠지고 GDP에만 합산된다.
이렇게 계산된 GDP에다 외국과 물건을 사고 팔면서 잃거나 얻은 '무역손익'을 더하면 '국내총소득(GDI)'이 나온다.
또 GDI에다 국민들이 외국에 노동 자본 등을 제공한 대가로 받은 소득은 더하고 반대로 외국인들에게 지급한 돈을 차감하면 최종적으로 GNI가 산출된다.
따라서 수입품에 비해 수출품 가격이 높아지거나 원화환율이 올라 수출경쟁력이 개선되면 GNI의 규모는 커지게 된다.
똑같은 양의 물건을 생산하더라도 외국과의 교역조건에 따라 국민의 소득수준에는 차이가 나는 셈이다.
또 생산량이 늘고 교역조건이 변함 없어도 외국에 줘야할 돈(외채 이자 등)이 많으면 국민의 소득수준은 개선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작년에는 자동차 10대를 수출해 번 10만달러로 공작기계 1대를 수입한 반면 올해는 자동차 20대를 팔았는데 수출가격이 절반으로 떨어지고 수입 공작기계 값은 변동이 없었다고 가정해 보자.
이 경우 생산지표인 GDP는 올해 20만달러(20대x1만달러)로 작년의 배가 되지만 구매력 지표인 GNI는 작년과 똑같이 공작기계 1대 수입분이 된다.
자동차값 하락으로 인한 무역손실(10만달러)을 차감하기 때문이다.
이런 계산 과정에 비춰보면 한 나라의 실질 구매력은 일반적으로 체감경기와 밀접한 GNI가 가장 잘 표현함을 알 수 있다.
또 국민 개개인의 소득수준을 알아보는 데는 GNI를 인구수로 나눈 '1인당 GNI'가 유용하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