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흥은행 매각협상이 급진전되고 있는 가운데 조흥은행 노조가 총파업을 강행키로 해 노ㆍ정간 정면 충돌이 예고되고 있다. 조흥은행 노조는 11일 오전 서울 을지로 금융노조 사무실에서 총파업 방침을 선언하고 구체적인 투쟁 일정과 향후 계획을 발표키로 했다. 총파업 일자는 24일 전후가 될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는 또 정부의 일방적인 매각 방침에 대한 항의 표시로 전직원의 사직서를 청와대에 제출키로 했다. 노조 관계자는 "전국 4백60여개 점포에 최소한의 인력도 남기지 않은 채 전면파업에 돌입할 것"이라며 "은행의 핵심 인프라인 전산시스템까지 중단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조흥은행 노조가 파업을 강행할 경우 1천만명에 달하는 개인고객과 8천여 기업고객들의 거래가 전면 중단되는 것은 물론 다른 은행과의 계좌이체나 어음결제 등도 마비돼 금융시스템에 혼란이 우려된다. 한편 이날 금융노조와 대안연대가 공동으로 은행회관에서 개최한 '참여정부의 금융산업정책 방향' 토론회에선 "합병을 통한 은행 대형화 정책은 기업금융 서비스를 축소하고 금융불안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찬근 인천대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지적하고 "가뜩이나 투자가 위축돼 기업금융 복원이 시급한 상황에 조흥은행 등 기업금융에 경험이 있는 은행을 대책없이 다른 은행에 합병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어 조복현 한밭대 교수는 "G10(선진 10개국)의 2001년 보고서에 따르면 대형화를 통한 은행 집중은 금융시스템 위기를 증가시키고 기업대출을 크게 줄이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유병연 기자 yoob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