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송금 의혹사건'을 수사중인 송두환특별검사팀은 11일 정몽헌 현대아산 회장이 2000년 3월 2-11일 김대중 전 대통령 유럽 4개국 순방에 즈음해 청와대측에 남북정상회담 의사를 타진했다는 관련자 진술을확보, 경위를 수사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지원 전 청와대 비서실장의 한 측근은 이와 관련, "(유럽 순방에 즈음해) 정몽헌 회장이 정상회담이 가능하게 됐다는 내용을 타진해왔으며, 김 전 대통령은 북측과 예비접촉 파트너로 박지원 당시 문화관광부 장관을 정해 싱가포르로 보냈다"고말했다. 박 전실장은 당시 유럽 순방단에 포함되지 않고 국내에 머물러 있다 김 전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3월 9∼11일 싱가포르를 급거 방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실장의 변호인인 김주원 변호사는 "남북관계에 문외한이었던 박 전 실장은 당시 김보현 대북전략국장 등과 함께 싱가포르 예비접촉에 참석했으며, 북측과상견례를 겸한 첫날 회담에 정몽헌 회장도 참석, 정 회장이 송호경 북한 아태평화위부위원장을 우리측 참석자들에게 소개했다"고 설명했다. 특검팀은 13일 임동원 전 국정원장을 재소환, 정 회장을 통해 북측으로부터 정상회담 의사를 전달받고 회담 준비에 착수한 경위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특검팀은 또 박 전실장이 북송금 전에 정 회장의 부탁을 받고 이기호 전 청와대경제수석에게 현대 계열사에 대한 지원을 요청한 정황을 포착, 수사중이다. 김 변호사는 "박 전 실장은 2000년 5월 당시 정 회장으로부터 `현대가 어렵다. 도와달라'는 부탁을 받고 나서 이기호.임동원씨가 참석한 3자 회의에서 `현대가 무너지면 제2의 대우사태가 발생, 국가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도와주는 것이좋지 않겠나'는 의견을 제시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내주초 박 전 실장을 소환, 정 회장으로부터 지원을 요청받게 된 경위및 당시 이 전 수석에게 현대 계열사에 대한 지원을 요청했는지 여부 등을 조사키로했다. 특검팀은 박 전실장과 정 회장간 대질도 검토중이다. 특검팀은 전날 소환한 김보현 국정원 3차장을 상대로 북송금과 남북정상회담 관련성 여부에 대해 이틀째 조사를 벌였다. 특검팀 관계자는 "진상규명이 최우선으로 현직 국정원 고위 인사라는 위치나 개인적 능력이나 남북관계에 대한 기여도 등은 수사에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현재참고인 자격으로 진술을 받고 있지만 긴급체포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조계창.김상희 기자 phillife@yna.co.kr lilygardene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