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경제전문가들은 국내 경기가 2·4분기 바닥을 거쳐 3·4분기부터 완만하게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북핵사태,불안한 경제정책,카드채 문제 등이 여전히 불안요인이어서 경기회복을 위해 정부는 △정책 일관성 △규제완화 △효율적 재정지출 등에 정책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7개 국책·민간연구소 전문가들은 13일 김영주 재정경제부 차관보 주재로 열린 '거시경제 점검회의'에서 이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참석자들은 국내 경기가 △미국 경제 회복세 △금리인하 및 추경편성 효과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등 대외 불안요인 해소 등에 힘입어 3·4분기부터 반등세로 돌아설 것으로 내다봤다. 강준오 한은 동향분석팀장은 "2·4분기보다 더 나빠지진 않을 것"이라며 "금리 재정 등 경기부양 카드를 다 꺼낸 만큼 앞으로는 추경이 제대로 실행되도록 노력하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악재도 만만치 않아 경기 급반등을 기대하긴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 정만석 현대경제연구원 경기분석팀장은 "부동산 거품은 꺼야 하지만 투기나 가계대출을 너무 세게 조이면 그나마 경기를 떠받치던 건설시장이 한꺼번에 위축된다"며 세심한 대응을 주문했다. 김박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장은 북핵,경제정책 방향,카드채 문제 등을 들어 "미국 경기 회복세가 곧바로 국내 경기회복으로 이어지긴 힘들다"고 지적했다. 박종규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같은 이유로 경기회복 시점을 오는 10월께로 다소 늦춰잡았다. 경기대책에 대해선 정부가 정책에 일관성과 방향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배상근 한국경제연구원 거시경제연구센터 연구위원은 "과감한 재정지출과 규제완화가 수반되지 않으면 우리 경제의 연착륙은 힘들다"고 우려했다. 신인섭 KDI 거시경제팀 연구위원은 "소비 확대 없이 기업투자 증대만으로는 경기진작에 한계가 있다"며 "소비심리와 기업의욕을 되살리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수진·안재석·이정호 기자 park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