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일관계가 지난해 9월 평양선언을 체결한 지 9개월만에 북한 선박 일본 입항 규제 문제 등으로 최악의 국면을 맡고 있다. 북한은 일본당국의 만경봉-92호의 입항 규제를 문제삼아 북-일 평양선언 백지화를 경고한데 이어 16일에는 일본의 이같은 행위가 사실상 두나라 관계 '차단'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북한은 일본당국의 선박 입항 규제 조치가 지난달 22일 미-일 정상회담에서 북측 위협 고조시 `더 강경한 조치(tougher measures)'를 취하기로 합의한 데 이어 발생한 것이어서 더욱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노동신문은 이날 일본당국이 만경봉-92호 등 북한 선박의 입항을 규제하고 있는것은 사실상 북-일관계를 차단하겠다는 선포라면서 "일본이 우리의 경고를 무시하고만경봉-92호 소동을 계속 벌이면서 우리에 대한 제재와 압박을 강화한다면 사태는예측할 수 없는 상황으로 번질 것이며 그 후과는 파국적인 것으로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북한 '조-일우호친선협회' 대변인도 지난 11일 일본은 '만경봉-92호' 입항방해 사태로 양국 관계가 악화돼 북-일 평양선언이 백지화될 수도 있다는데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한바 있다. 또 조선해운위원회 대변인은 10일 담화에서 "일본당국이 우리의 경고를 무시하고 만경봉-92호의 운항을 가로막는 부당한 행위를 계속한다면 우리도 그에 대응한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이라고 말해 북측 나름대로 대응방안을 준비하고있음을 시사했다. 일본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북한 화물선 안전검사 강화와 선박입항 보류, 재일본 조선인총연합회(총련) 시설에 대한 면세 혜택 취소, 미사일 부품 판매 의혹 총련 기업 수사 등 다양한 방식으로 대북 압박에 들어간 상태다. 더욱이 아베 신조(安倍晉三) 일본 관방부장관은 15일 북한의 대규모 식량.에너지난 등을 예로 들면서 "그런 것(대화시도와 압력)들이 북한으로 하여금 관계 정상화를 시도하도록 할 필요성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말해 당분간 강.온전략을 구사할것임을 시사했다. 때문에 일본의 압력이 가중될 경우 북한이 어떤 대응 카드를 내놓을지가 초미의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14일 이와 관련, "이런 행위(만경봉-92호 입항저지)가 우리 공화국에 대한 제재의 시작으로 되는 경우 엄중한 후과가 초래될 것"이라며 "일본당국이 우리의 경고를 무시하고 부당한 행위를 계속한다면 우리도 그에 대응한 조치를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통일연구원 전현준 연구위원은 "북한도 강.온 양면전략을 구사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미국에 대해 이미 핵카드를 소진한 만큼 일본에 대해서는 미사일 시험 발사보류 철회 등의 위협을 내놓을 만하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sknko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