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대로라면 보름 뒤인 다음달 1일엔 청계천 복원사업을 시작해야 하는데, 아직도 착공시기를 둘러싼 시비가 그치지 않고 있으니 답답한 노릇이다. 시민단체들은 청계고가도로 철거로 인해 실제로 발생하는 교통혼잡을 측정하고 청계천 복원과 관련된 종합적인 도심개발계획이 마련될 때까지 착공을 미루자고 요구하는데 반해, 서울시측은 예정대로 다음달 초 공사를 강행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양쪽 주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이대로 가면 교통난 가중에다 시민단체와 청계천 주변 상인들의 반발까지 겹쳐 큰 혼란이 예상되는 만큼,서울시와 관계당국은 시민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철저히 점검해야 할 것이다. 현재 최대 쟁점은 공사에 따른 교통체증이 얼마나 심할 것이냐는 것이다. 서울시측은 우회도로 확보, 신호주기 조정, 일방통행제 등을 실시하면 걱정하는 것처럼 큰 교통혼잡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당초 핵심대책으로 제시됐던 동북부지역의 버스전용차로 시행과 간선-지선버스제도 도입이 버스업계의 강한 반발에 부딪쳐 연기된 점을 감안하면, 과연 이정도 대책만으로 극심한 교통난을 완화할 수 있을지는 솔직히 의문이다. 일이 이렇게 꼬인 것은 무엇보다 서울시 당국의 무리한 사업추진 탓이 크다. 굳이 외국의 사례를 들먹이지 않더라도 1천만 시민이 거주하는 거대도시인 수도 서울의 교통흐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엄청난 사업을 추진하면서, 무엇 때문에 쫓기듯 일정을 잡아야 하는지 도무지 이해하기 어렵다. 물론 안이한 대응으로 일관한 교통당국도 책임을 면할 수 없다. 당장 청계고가도로 철거에 따른 교통혼잡 측정 문제만 해도 그렇다. 이명박 서울시장이 취임해 청계천 복원사업을 발표한지 거의 1년이 다됐는데 이런 정도의 사전점검도 하지 않고 그동안 도대체 무엇을 했단 말인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했다고 하지만 실제 상황과의 차이가 적지 않을 것이고 보면 이는 변명에 불과하다. 철거에 앞서 일정기간 동안 차량통행을 하지 못하게 해 실제 교통영향을 평가해 보자는 시민단체 주장도 나름대로 설득력이 없지 않다고 본다. 청계천 복원사업은 서울시정을 과거의 개발위주에서 벗어나 환경친화적으로 전환하겠다는 의지를 상징하는 것으로 그 자체엔 별다른 이의가 없다. 하지만 아무리 취지가 좋아도 사업이 졸속으로 계획되고 부작용이 크다면 이는 정당화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서울시는 청계천 복원 사업을 무리없이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다각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