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17일 "노무현 정부의 개혁정책 후퇴에 항의해 6월 말∼7월 초로 예정된 총파업투쟁을 강행하겠다"고 선언하는 등 노동계의 하투(夏鬪)가 본격화되고 있다. 제몫 챙기기를 위한 노동계의 집단행동 움직임이 빨라지면서 산업현장의 피해도 막대할 것으로 우려된다. 침체된 경제를 살리기 위해 발벗고 나서고 있는 정부와 재계는 노동계의 총파업이 근로 분위기를 해치고 대외 신인도를 더 떨어뜨리지 않을까 크게 걱정하고 있다. 재계는 특히 참여정부 들어 노동계가 임금인상 등 근로조건보다 △경영참여 △주5일 근무 △은행 매각 △경제자유구역법 등 정치적인 이슈를 들고 나와 노사문제를 더욱 꼬이게 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민주노총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노무현 정부가 환경 교육 의료의 공공성을 파괴하는 경제자유구역법을 7월1일부터 시행하려 하고 있고 특정 재벌의 이해관계가 걸린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을 강행하기 위해 전교조와의 합의를 파기했다"고 비난했다. 근로자들의 삶의 질과는 거리가 있는 정치적 이슈를 파업 이유로 들고 나온 것이다. 참여정부의 친노조정책으로 노동계의 기대심리가 높아진 데다 철도노조와 화물연대 사태에서 보듯 법과 원칙없는 집단행동에 정부가 휘둘린 것이 노동계의 총파업 열기를 높인 한 요인으로 분석된다. 민주노총은 21일 전교조의 연가투쟁을 신호탄으로 대구 인천 부산지하철 등 궤도3사 노조의 파업투쟁(24일),민노총 총력투쟁(7월2일) 등 예정된 파업을 강행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노총 외에 28일에는 철도노조가 공사화 저지 등을 내걸고 파업에 돌입하고 오는 7월2일에는 금속연맹 산하 현대자동차를 비롯 통일중공업 한진중공업 두산중공업 등 1백40여개사가 총파업에 동참키로 했다. 한국노총도 25일 조흥은행 파업을 시작으로 30일에는 모두 3백여개사 20여만명이 참가한 가운데 총파업을 벌일 계획이다. 노동부 관계자는 "'밀어붙이면 통한다'는 사실을 철도노조 화물연대 사태 등에서 여러차례 확인한 만큼 올해는 그 어느때보다 노조의 파업강도가 높아져 노사현장은 엄청난 혼란을 겪을 것"으로 전망했다. 윤기설 노동전문기자 upyk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