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송금 사건 수사중에 불거진 현대 비자금 의혹과 박지원 전 문화관광부 장관의 150억원 수뢰 의혹 사건이 검찰에 넘겨짐에 따라검찰은 수사주체를 누구로 삼을지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일단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곳은 서울지검 금융조사부(이인규 부장검사). 지난해 10월 시민단체의 이근영 전 금융감독위원장 등 상대 고발사건을 배당받아 지난 2월 수사유보 결정을 내리기 전까지 줄곧 수사준비를 했던 부서로 사건내막을 검찰내에서 가장 잘 알고 있다는 점이 꼽히고 있다. 금융조사부는 지난 1월 정몽헌 현대아산 이사회 회장 등 관련자 17명에 대해 출국금지 및 입국시 통보 조치를 내리고 자료검토를 하는 등 본격적인 수사준비를 해오다 검찰내 수사유보 결정으로 지난 4월 특검에 자료.기록을 모두 넘겼다. 그러나 수사해야 할 사건내용도 북송금 본안에서 비자금 및 개인비리 의혹으로바뀌었고, 당시 수사진이 대부분 교체됐다는 점에서 수사주체로 삼기에 부적격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나라종금 퇴출저지 로비의혹 수사를 사실상 마무리한 대검 중수부(안대희 검사장)가 사건의 비중이나 규모를 봐서는 `적격'이라는 주장이 강력하게제기되고 있다. 사건 배당권을 쥐고 있는 송광수 검찰총장이 국민적 관심사인 현대 비자금 수사를 직할 부대인 대검 중수부에 배당, `성역없는 수사'로 상시적 특검제 도입 등 검찰 개혁의 외풍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삼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역으로 사건수사에 대한 부담이 곧바로 검찰총장에게 미친다는 점에서 `대검 중수부'는 피하고 싶은 차선책일 수 있다. 서울지검 금융조사부도 아니고, 대검 중수부도 아니라면 현재 각각 월드컵 휘장사업 로비의혹 수사와 굿모닝시티 분양비리 의혹 수사를 맡고있는 서울지검 특수1.2부 외에 특수3부(곽상도 부장검사)도 또하나의 차선책으로 꼽히고 있다. 서영제 서울지검장은 배당 전망을 묻는 질문에 "배당을 누가 하지?"라고 반문,맡고싶지 않다는 마음을 완곡히 표현하기도 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주호 기자 joo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