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탈 비하리 바지파이 인도 총리의 중국 방문을 계기로 양국이 '동반 경제성장' 전략을 구체화하고 나서 주목된다. 23억명에 달하는 거대시장을 발판으로 중국의 제조업과 인도의 정보기술(IT) 등을 결합,경제적 상호보완 관계를 강화해 경제성장을 가속화한다는 구상이다. 양국간 교역은 지난해 50억달러에 이른데 이어 올들어 4월까지도 전년 동기대비 71% 늘어난 23억1천만달러에 달하는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제조기지,인도 IT 등 후선지원=6일간 일정으로 22일 중국을 공식방문한 바지파이 총리는 23일 원자바오 총리와 회담을 갖고 과학 기술 분야 교류확대 등의 9개 문서와 양국간 포괄적 협력원칙을 담은 공동선언을 채택했다. 바지파이 총리는 이어 1백개 자국 기업대표들을 대동하고 중국의 경제중심지 상하이를 방문,구체적인 경제협력 프로젝트도 성사시킬 계획이다. 인도대표단 가운데 인포시스 테크놀러지 등 IT기업들은 상하이에 개발센터 설립을,제약회사 란박시와 오치드는 약품생산 공장건립을 타진 중이다. 이밖에 마힌드라 트랙터 제조업체,인도 최대 시멘트업체 그라심공업도 중국진출을 모색하는 등 IT를 중심으로 에너지 가전 운송 분야의 협력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아미트 미트라 인도상공회의소 회장은 "중국의 제조기지와 인도의 후선지원이 손을 잡으면 엄청난 경제성장을 함께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도는 지난 80년대만 해도 경제규모 면에서 중국을 능가했지만 90년대 중국이 개방정책을 취하면서 뒤처지기 시작했다. 지난 10년동안 중국의 경제규모는 인도의 2배로 커졌고,성장률 역시 인도(지난해 4.4%)의 2배나 높은 상황이다. ◆외교분쟁은 뒷전으로 밀려나=양국은 지난 62년의 국경분쟁이 여전히 미해결된 상태이고 인도의 티베트 망명정부 지원을 둘러싼 대립도 계속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외교분쟁이 가장 큰 현안이지만 경제협력이란 명제에 밀려 완전한 타결보다는 현상유지 선에서 합의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산 가전제품 범람에 대한 인도의 수입장벽도 경협 확대의 걸림돌이다. 지난해 말까지 인도가 제기한 반덤핑 제소 가운데 3분의1이 중국산 제품을 겨냥,중국이 강력 반발해왔다. 인도는 경협을 대가로 수입규제완화 등 상당부분을 양보할 가능성이 높다. 우종근 기자 rgbac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