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공개(IPO)를 준비 중인 장기지속형 주사제 개발기업 지투지바이오가 다국적 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과 제형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지투지바이오는 베링거인겔하임이 임상개발 중인 펩타이드 의약품의 장기 지속형 주사 치료제 개발을 위한 제형 개발 계약을 지난 달 24일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회사 관계자는 “기술이전(LO) 계약은 아니다”라면서도 “제형 개발 결과 및 성과에 따라 기술이전 계약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번 협약에 따라 베링거인겔하임은 자사의 독점적인 펩타이드 약물과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지투지바이오는 자사 ‘이노램프’(InnoLAMP) 약물 전달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펩타이드의 장기 지속형 주사 제형을 개발할 예정이다.이 관계자는 “이번 협력으로 베링거인겔하임의 펩타이드 약물 개발의 전문성과 지투지바이오의 약효지속 기술의 전문성을 결합시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지투지바이오의 이노램프 기술은 다양한 펩타이드 약물을 미립구내에 40% 이상 높은 함량으로 담지할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이다. 생체이용률이 우수하며, 주사 부위 반응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장기지속형 주사제로 개발시 환자 편의성을 높이고 치료 효과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치매, 정신질환, 당뇨, 비만 등 만성 질환 치료제에 적용할 수 있다.이희용 지투지바이오의 대표는 “2022년에 글로벌 제약사와 당뇨병 치료 협력 시작한 이래로, 2023년에는 미국의 또 다른 다국적 제약사와 미립구 지속 방출 기술에 대한 마스터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고, 올초에는 베링거인겔하임과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공개한 AI 모델을 "혁신적"이라고 호평하면서 자사에도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적은 규모의 투자로도 AI 선도 업체들을 추격할 수 있는 선례가 됐다는 이유에서다. 최 대표는 7일 오전 지난해 4분기·연간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최근 시장에 큰 반향을 일으킨 딥시크는 후발 주자가 선도 업체를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의 투자로도 추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례를 보여줬다는 점에서 매우 혁신적이며 저희에게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딥시크의 등장을 "매우 긍정적"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저희 역시 선도 업체와의 기술 격차가 벌어지지 않도록 멀티모달이나 추론 능력 등의 강화에 전념하고 있다"며 "이와 함께 다양한 비용 효율화 방안도 지속해서 모색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네이버 자체 거대언어모델(LLM)인 하이퍼클로바X의 파라미터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네이버는 전략적으로 파라미터 규모를 공개하지 않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최 대표는 "2월 중에는 플래그십 모델의 업데이트를 실시할 예정"이라며 "연내에 보이스, 이미지, 비디오 등 다양한 멀티 모달리티에 관해서도 성과를 보여줄 계획"이라고 했다. 그는 "경쟁사들이 무제한적으로 AI 성능을 확장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전략을 취하는 반면 하이퍼클로바X는 네이버 서비스에 최적화된 모델 능력과 속도를 효율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며 "이를 위해 그동안 데이터와 학습방법론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왔다"고 말했다. 해외 빅테크와의 Ai 협업
갤럭시S25 시리즈가 전 세계에서 순차 출시된다. 한국을 포함해 미국, 영국, 인도, 태국을 시작으로 전 세계 120여개국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심성전자는 7일 갤럭시S25 시리즈를 전 세계에서 순차적으로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날 한국과 미국, 영국, 인도, 태국 등에서 먼저 출시한 뒤 이어서 순차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갤럭시S25 시리즈는 이달 3일까지 진행한 국내 사전 판매에서 130만대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 갤럭시S 시리즈 사전 판매 중 최다 기록이다. 121만대를 기록했던 갤럭시S24 시리즈가 그간 갤럭시S 시리즈 최다 사전 판매 기록은 121만대를 기록한 갤럭시S24 시리즈였다.사전 예약자 2명 중 1명은 울트라 기종을 선택했다. 전작인 S24 시리즈 사전 예약 기간에도 울트라 예약자는 65%를 차지했다. 기종별로 사전 예약자 비중을 보면 울트라 52%, 기본형 26%, 플러스 22% 순이었다. 사전 예약자들은 갤럭시S25와 갤럭시S25 플러스의 경우 아이스블루 색상을 선호했다. 갤럭시S25 울트라는 티타늄 실버블루와 티타늄 블랙의 인기가 높았다.갤럭시S25 시리즈는 역대 갤럭시 최초로 통합형 인공지능(AI) 플랫폼인 '원(One) UI 7'을 사용한다. 나우 브리프 기능을 통해 일상 속 맞춤 정보를 받아볼 수 있다. 나우 바로 잠금 화면에서도 나우 브리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갤럭시 전용 프로세서 '스냅드래곤 8 엘리트'로 성능도 끌어올렸다. 해당 칩셋은 디스플레이 품질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설계됐다.카메라 성능 또한 향상됐다. 고해상도 센서와 AI 기반의 차세대 '프로비주얼 엔진'이 있어 어느 거리에서도 고화질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AI로 만든 콘텐츠에 출처를 남길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