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일변도로 치닫던 노동계의 집단행동이 일선조합원들의 외면으로 변화조짐을 보이고 있다. 민주노총 최대 사업장인 현대자동차노조는 24일 오후 파업찬반투표에서 재적조합원 54.8%의 극히 저조한 찬성률을 기록, 노동계에 충격을 안겼다. 현대차노조가 50%대로 파업을 결의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현대자동차 파업은 물론 다른 사업장 파업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노조는 지난해 월드컵대회 기간중에 실시한 파업찬반투표에서도 70%가 넘는 찬성률을 기록했고 그 이전에는 80∼90%에 달하는 등 줄곧 투쟁적 노선을 걸어왔다. 조합원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지 못한데 대해 회사 관계자는 "집행부가 민주노총의 지침을 그대로 받아들여 임금 등 일선조합원의 근로조건이 아닌 주5일근무제, 비정규직처우개선, 경영참여 등 정치적이고 제도적인 문제를 들고 나왔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현대차의 이러한 분위기는 올해 노동계 총파업의 분수령이 될 오는 7월2일 민주노총 금속연맹 연대투쟁뿐 아니라 산업현장 노사관계에도 큰 파급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노동계의 실리노선은 산업현장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그동안 강경투쟁을 벌여왔던 두산중공업노조는 25일 민주노총의 총력투쟁에 간부만 참석하고 일반조합원들은 정상조업을 할 예정이다. 지난 19일 88%의 찬성으로 파업을 결의한 쌍용자동차노조도 7월2일 총파업에 가담하지 않을 것으로 회사측은 전망했다. 부산과 대구지하철은 24일 파업에 돌입했으나 노조원들이 집행부의 강경투쟁에 반기를 드는 바람에 별다른 위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부산지하철 노사협상은 이날 밤 타결됐고 대구지하철 역시 오후 1시 파업을 중단했다. 25일 민주노총 1백개 사업장 10만여 노조원이 경제자유구역법 폐기 등을 촉구하기 위해 벌이는 4시간 부분파업에도 많은 사업장 노조원들이 불참할 것으로 알려졌다. 임금인상이나 수당, 고용문제 등 노조원 자신과 직접 관계가 없는 문제에는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윤기설 노동전문기자 upyk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