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창동 전문기자의 '유통 나들목'] 바코드 표준화 '우리도 함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달 UCC(북미코드표준화기구)와 EAN(유럽코드표준화기구)이라는 대표적인 국제 상품코드 표준화 기구가 통합됐다.
둘 다 유통 정보화를 위한 국제표준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일을 하는 곳이다.
1977년에 설립된 EAN은 유럽에,UCC는 북미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만 다를 뿐 역할은 비슷하다.
두 기구가 통합됨에 따라 2005년부터는 전 세계에서 통용될 수 있는 상품 바코드 표준이 GTIN(국제거래단위번호)으로 정착된다.
미국과 캐나다에서 사용되는 12자리 상품 바코드와 북미를 제외한 전 세계 1백1개국에서 쓰이는 13자리 바코드가 14자리 GTIN으로 바뀐다.
그 결과 바코드에 담을 수 있는 상품 정보가 좀더 다양해져 언제 어디서든 같은 내용으로 읽히고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좀 더 발전해 24자리 바코드 시대가 되면 언제 어디서든 상품의 이동경로 추적이 가능해진다.
서울 도심 백화점에서 팔린 여성 브라·팬티 세트가 일본행 비행기에 실렸다든지,일본 오사카 도심에서 누군가가 이 속옷을 착용하고 있다는 정보까지 어렵지 않게 찾아낼 수 있게 된다.
먼 훗날의 얘기가 아니다.
면도기 제조업체인 질레트나 영국 유통업체인 테스코는 이미 이런 기반기술 개발에 착수한 상태다.
이런 것들이 가능해지게 하려면 먼저 두 가지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
우선 기존 바코드를 대체하는 초박막 칩 제조비용을 5센트 이하로 낮춰야 한다.
바코드 정보로 인해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일이 없도록 보완장치도 마련해야 한다.
어쨌든 북미와 유럽은 상품에 관한 한 '유비쿼터스(ubiquitous·어디에나 있는) 세계'를 실현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30년 가까이 따로 놀았던 EAN과 UCC가 통합한 것은 이런 노력의 첫 걸음이자 가시적인 표현인 셈이다.
문제는 상품 바코드 표준화에 아시아가 소외돼 있다는 점이다.
바코드 표준화는 국제 상거래의 선결조건이 될 게 틀림없다.
특히 북미와 유럽 국가들의 이익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표준화가 추진될 가능성이 크다.
다행스럽게도 표준화를 주도하는 EAN인터내셔널 7인 운영위원회에 한국대표인 이승한 삼성테스코 사장이 포함됐다.
상품 표준화와 유통 정보화는 기업 이익에도 직결된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내 유럽 국가들은 표준화와 정보화를 통해 기업 운영비의 4.8%,재고비용의 0.9%를 절감했고 그 결과 소비자가격이 5.7% 떨어졌다고 한다.
이제 우리 기업들도 세계적인 상품 바코드 표준화 작업에 관심을 기울이고 적극 동참해야 한다.
cd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