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급 탄소多孔 물질 개발.. KAIST, 유룡 교수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기능성 나노물질연구단 유룡 교수와 최민기씨(석사과정 2년)는 탄소와 고분자를 이용,고성능 촉매나 환경오염물질 제거,DNA 단백질 등 생체물질 분리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나노 다공성 신구조 물질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유 교수팀은 수 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 크기의 미세한 구멍이 규칙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 탄소를 합성한 뒤 이를 고분자 초미세 박막으로 코팅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그동안 난제로 여겨져온 나노다공성 고분자 물질의 기공 크기와 배열을 해결한 획기적 연구로 재료과학 분야 전문지인 '네이처 머티리얼스' 7월호에 게재되기에 앞서 최근 인터넷을 통해 공개됐다.
이 물질에는 수㎚ 직경의 균일한 기공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환경오염 물질은 물론 DNA나 단백질 등 다양한 분자들을 크기별로 분리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탄소 골격과 고분자의 상호작용으로 물리적 안정성과 내화학성,열안정성이 우수해 이 분야 핵심소재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탄소골격은 전기전도성이 뛰어나 연료전지 등 각종 전기에너지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 교수는 2000년 11월 나노 다공성 실리카 물질의 결정구조를 세계 최초로 규명,네이처 표지 논문으로 발표했으며 2001년에는 탄소 나노파이프 합성에 관한 논문도 네이처에 발표했다.
장원락 기자 wr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