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복원' 7월1일 착공] (인터뷰) 이명박 <서울시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청계천 복원은 모든 생명체의 복원입니다.'
이명박 서울시장은 소설가 박경리씨가 청계천 복원공사와 관련해 보내온 서한에 담긴 이 표현으로 복원공사의 의미를 설명했다.
이 시장은 "청계천 복원공사의 대전제는 환경 복원"이라면서도 "생산ㆍ부가가치 유발 효과가 최대 21조여원에 달할 정도로 경제적 파급 효과도 크다"고 밝혔다.
또 "복원된 청계천 주변을 상업ㆍ비즈니스 타운으로 육성하면 강남ㆍ북 균형 발전과 서울의 국제금융 중심지 구상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청계천 복원사업의 경제적 파급 효과는 덜 논의된 것 같다.
"사업의 대전제는 환경 복원이지만 그에 못지 않게 경제적 파급 효과도 크다.
시정개발연구원 연구 결과 사업비 3천6백50억원 가량을 투입하면 생산 유발 31만여명, 생산ㆍ부가가치 유발 21조4천여억원을 거둘 것으로 나타났다.
청계천을 복원하지 않는다면 주변 상권은 몰락할 수밖에 없다.
청계천 복원은 서울이 홍콩 상하이 도쿄 등과 견줄 만한 국제금융 중심지로 자리잡는 계기가 될 것으로 믿는다."
-외국인들이 어떻게 평가하느냐가 중요한데.
"외국인들은 다운타운에 소재한 금융중심지를 원해 왔다.
네트워크나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약한 서울 외곽에 비즈니스 시설이 몰린데 대해 불만이 많았다.
이런 점에서 외국인들은 청계천 복원 후의 주변 지역에 대해 매력을 느끼고 있다는 얘기를 듣고 있다."
-매력을 투자로 이끌어낼 대책은 있나.
"서울투자자문단으로 활동 중인 HSBC 엘든 회장과 AIG그룹 그린버그 회장 등이 조만간 방한할 예정이다.
이들은 외국 기업 임ㆍ직원들이 한국에서 일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로 가족들의 일자리 등을 꼽고 있다.
이들의 요구를 세심한 부분까지 듣고 향후 청계천 개발계획 수립 때 반영할 계획이다."
-강북 주민들은 환경여건이 좋아질 것이라며 청계천 복원을 반기는데.
"청계천은 강남ㆍ북 균형 발전의 지렛대가 될 것이다.
강북은 서울 6백년 역사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외국인에게 매우 매력적인 장소다.
바꿔 말하면 강북을 강남과는 전혀 다른 개념으로 개발할 수 있다는 얘기다.
청계천 복원 이후 강북으로 오려는 강남 사람이 분명히 생길 것이다.
강남의 투기를 막겠다고 재산세를 중과세하느니 이처럼 10년 앞을 내다보는 장기대책이 중요하다."
-강남ㆍ북 균형개발 측면에서는 강북의 교육ㆍ문화여건 개선이 필요하다.
"서울은 다른 곳과는 달리 초ㆍ중ㆍ고 교사의 급여를 1백% 부담하고 있어 해마다 예산의 4조원을 쏟아붓고 있다.
강북에 양질의 학원이나 학교를 더 세우기에는 예산상 제약이 많다.
중앙 정부의 배려가 필요하다.
신도시 건설에 들인 27조원중 3분의 1인 9조원만 강북에 투자한다면 강남ㆍ북 불균형은 해결될 것이다."
-청계천 주변 개발구상은.
"테헤란로 같이 드라이(dry)하게 만들지는 않겠다.
고밀도ㆍ고층 개발은 배제하고 중밀도ㆍ중층으로 만들어 시민들이 맘 놓고 다닐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계획이다.
개발 원칙은 서울시에서 만들겠지만 세부사항은 업체나 토지주가 자율적으로 추진토록 할 방침이다."
-청계천 복원 이후의 플랜은.
"청계천 복원은 2005년 9월에 끝난다.
뉴타운은 2010년까지 계속되지만 임기 중에 무리하게 끝낼 생각은 없다.
다만 수립한 계획은 연속성을 갖도록 제도적 장치를 만들겠다.
용산기지 공원화도 차기 시장이 구체적인 방안을 만들 것이다."
-청계고가 철거로 수도권 광역교통 행정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수도 서울을 잘 운영하려면 서울만 다스려서는 안되는 시대가 됐다.
고양 의정부 일산 분당 등에 사는 시민들도 대부분 서울로 출ㆍ퇴근하고 있으며 자신들을 '준 서울시민'으로 여길 정도다.
광역교통 행정은 당연히 필요하다.
최근 인천시장 경기지사 등과 자주 만나고 있고 교통정책 담당 공무원들끼리 합동회의를 갖고 있다.
경기도의 경우 교통정책을 거의 서울에 위임하다시피 할 정도다."
박기호ㆍ임상택 기자 khpar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