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노사] 꼬이는 '인천' ‥ 징계철회 등 쟁점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천지하철 노사 협상이 또다시 결렬됨에 따라 26일 파업은 사흘째로 접어들었다.
대구ㆍ부산지하철과 마찬가지로 조기 타결될 것으로 예상됐던 인천지하철 노사협상은 새로운 쟁점이 불거지면서 향후 전망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수당 신설, 노조활동 확대보장, 고발ㆍ징계 철회를 둘러싼 노사간 대립 등이 걸림돌로 작용하는 양상이다.
정현목 노조위원장 등 노조간부 4명에 대한 체포영장이 발부됐고 공권력 투입요청 검토 등 사측의 강경기류도 감지되고 있어 물리적 충돌도 배제하기 힘든 상황이다.
파업 이틀째인 지난 25일 열린 6차 본교섭 때만 해도 타결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대세였다.
대구ㆍ부산지하철 타결 소식이 압력요인으로 작용한 데다 당초 쟁점이었던 안전확보에 대해 이견 폭이 좁혀졌기 때문이다.
안전대책위 설치, 인력충원, 외주용역 조정, 2인 승무제 후속논의 합의 등으로 협상은 술술 풀려갔다.
그러나 이날 오후 노조측이 조합원 징계방침 철회, 노조활동 확대보장, 대우수당 신설 등을 내세우면서 상황은 1백80도 뒤집어졌다.
회사측은 "조합원의 10%에 육박하는 80명의 조장들이 필요할 때마다 업무시간에 노조활동을 하면 운영시스템이 무너지는 만큼 수용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노조는 그런 요구를 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기대 만큼 파업효과를 거두지 못한 노조와 민노총 측이 28일 철도파업 때까지 열기를 이어가기 위해 인천지하철에서 '정책이슈 투쟁→임ㆍ단협 협상→고소ㆍ고발 취하 요구' 등으로 쟁점을 옮겨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희영 기자 songk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