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상반기도 지나갔다.


대부분 전망기관들이 올들어 상반기에 나타났던 여러 변수를 감안해 올 하반기 이후 세계경제의 수정전망치를 속속 발표하고 있다.


무엇보다 세계경제를 주도하고 있는 미국경제가 관심사다.


여러 시각이 있으나 요즘 들어 자주 지적되고 있는 장애요인을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


가장 불안한 것은 아직까지 민간소비 회복세가 기업의 설비투자로 연결되지 않고 있는 점이다.


주택가격 급등에 따라 주택시장에 버블이 생긴 부문도 향후 미국경제에 커다란 영향을 줄 수 있는 대목이다.


미국의 주택시장은 여전히 활황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현 시점에서 버블이 붕괴될 경우 미국경제에 찬물을 끼얹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올 회계연도에 3천6백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재정적자를 어떻게 극복하느냐도 중요한 변수다.


지난해 5천억 달러가 넘은 경상적자도 미국경제의 회복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과거 쌍둥이 적자는 미국경제 회복에 최대장애요인이었다.


일본경제는 4대 함정(trap)이 지적된지 오래됐다.


무엇보다 하반기 이후 일본경제가 회복되기 위해서는 모든 정책이 아무런 효과가 없는 정책함정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 중에서 통화정책이 무력화되어 있는 유동성 함정에서 탈피해야 경기회복을 기대해 볼 수 있다.


1990년대 이후 들어선 총리들이 일제히 일본 금융기관들의 부실채권 처리를 위해 구조조정을 강조해 왔으나 아무런 효과가 없었던 구조조정 함정에서도 벗어나야 한다.


현재 고이즈미 정부도 출범초 강력한 구조조정 의지로 기대를 받았으나 이제는 대내외적으로 신뢰도가 떨어짐에 따라 오는 8월에 열릴 자민당 총선에서 교체설까지 나돌고 있는 상황이다.


93년 하반기 이후 계속된 경기부양책으로 정부부채가 국민소득(GDP)의 1백32%에 달하고 있다.


결국은 일본경제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빚의 함정에 빠져있는 일본 정부의 현금흐름(cash flow)이 개선돼야 가능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유럽경제는 갈수록 경기회복에 걸릴돌이 될 요인이 많은 것으로 지적돼왔다.


무엇보다 유로랜드의 중심국인 독일과 프랑스가 일본처럼 "구조병"에 시달리고 있는 점이다.


비록 유럽중앙은행이 경기부양 차원에서 금리를 내리고 있으나 효과가 있을지는 의문이다.


요즘 들어 회원국 사이에 고개를 들고 있는 경제국수주의도 유로랜드 경제에 장애가 될 가능성이 높다.


만약 이 문제가 심화될 경우 유럽경제 통합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가 약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중국경제는 올 1.4분기에 9.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하반기 이후 경제성장에 장애가 될 수 있는 변수도 많다.


특히 앞으로 5년간 경제를 이끌어갈 후진타오-원자바오 체제가 제대로 정착될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경제 내부적으로는 자전거 경제(bicycle economy)라 불리울 만큼 심각한 문제점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느냐도 중요한 변수다.


현재 중국 금융기관들의 부실채권은 4천8백억 달러에 달해 실제 발생여부와 관계없이 금융위기에 대한 우려가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실업률로 10%가 넘어 언제든지 성장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이다.


중국이 급부상함에 따라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인접국으로부터의 견제를 어떻게 극복하느냐도 빼놓을 수 없는 과제다.


중국이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결국은 인접국가와의 협력문제로 귀착될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올 하반기 이후 세계경제가 어떻게 될 것인가를 정확히 보기 위해서는 올들어 질적 측면에서 비용이 높아지고 있는 점과 세계 각국의 정책여지면에서 동원할 수 있는 정책수단이 좁아지고 있는 점을 예의 주시해야 한다.


결국 올 하반기 이후에도 상반기 만큼이나 세계경제에 영향을 줄만한 변수가 많아 보인다.


앞으로 이런 변수들이 어떻게 변화돼 세계경제를 어떤 모습으로 만들어 낼 것인가는 한동안 논쟁거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수정 전망치를 내놓고 있는 세계전망기관들의 견해를 총괄해 본다면 올 하반기에도 어려움이 지속되는 가운데 상반기보다는 다소 나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세계경기가 회복되더라도 세계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을 정도의 회복세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점이다.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