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리포트] 경제발전 선도 : 소유ㆍ경영 철저히 분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98년 7월 정부는 포스코를 공기업 중에서 가장 먼저 민영화하기로 결정했다.
WTO(세계무역기구) 체제 출범 등 국경을 초월한 무한경쟁 시대가 열리면서 공기업 형태의 경영구조로는 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정부지분 매각수입을 당시 외환위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 우리 경제의 구조조정 재원으로 활용함으로써 경제 회복에 기여할 수 있다는 계산도 한몫 했다.
포스코는 민영화에 대비,우선 전문경영진의 책임경영과 이사회의 경영감시 및 견제기능을 강화한 '글로벌 전문경영체제(GPM·Global Professional Management)'를 구축했다.
또 경영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업무 프로세스 혁신, IR(투자자설명회) 강화 등 민영화 이후의 경영환경에 대비한 준비작업을 착실하게 추진했다.
이같은 노력에 기반해 포스코는 2000년 10월 성공적으로 민영화를 이뤘다.
다른 공기업의 민영화 과정에서 불거진 특혜 시비나 헐값 매각과 같은 비판은 포스코와는 거리가 멀었다.
정부는 포스코 민영화 계획을 발표하면서 철강이라는 소재산업이 특정 세력에 의해 지배되는 것을 막기 위해 동일인 소유한도를 설정했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특정 대주주 없이 주식이 골고루 분산됐다.
민영화를 통해 포스코는 소유와 경영이 철저히 분리된 지배구조하에서 전문경영인이 책임경영을 하고 사외이사가 중심(사외이사 8명,사내이사 6명)이 된 독립적인 이사회가 이를 견제·감시하는 이상적인 경영체제를 갖추게 됐다.
민영화 후 포스코는 회사 경영을 맡겨준 주주들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 '주주중시 경영'을 강화했다.
철저한 책임경영의 자세로 최고의 경영성과를 달성하는 한편 회사의 경영상황을 신속 정확하게 알리는 데도 애써왔다.
이를 위해 포스코는 회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회사의 내재가치가 주가에 올바르게 반영되게 하기 위해 적극적인 IR활동을 펼쳐 주식시장의 신뢰를 이끌어냈고 이로 인해 주가가 안정적으로 상승해왔다.
최고 경영진이 연 1회 이상 국내외 투자자와 언론을 상대로 경영실적을 직접 설명하고 투자자와의 개별 미팅,각종 간행물,IR 웹사이트 등을 통해 경영정보와 회사 주요 이슈를 투자자에게 알려주고 있다.
장경영 기자 longrun@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