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은 2일 산하 금속산업연맹과 화학섬유연맹 1백여개 사업장 노조원 9만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단체협약 노동시간 주40시간으로 단축 △근골격계 직업병 대책 마련 △비정규직 차별철폐와 정규직화 △임금인상과 최저임금 현실화 등을 요구하며 시한부 연대파업을 벌였다. 민주노총은 서울 여의도 등 전국 12개 지역에서 1만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열린 '철도파업 무력진압 규탄 및 파업승리 결의대회'에서 "철도파업 무력진압사태는 노무현 정부가 개혁을 포기하고 과거 정권의 강경한 노동정책으로 후퇴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면서 "임단협 쟁의와 대정부 투쟁을 병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선언했다. 민주노총은 오는 6일부터 화물연대의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시작으로 11일과 16일에는 보건의료노조의 쟁의행위를 집중시킬 계획이다. 하지만 지난 1일 철도노조의 '백기투항' 이후 민주노총의 지도력이 급속히 약화되고 있어 민노총이 주도하는 하투(여름투쟁)가 사실상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는 분석을 낳고 있다. 실제로 경제자유구역폐지 등 정치적 구호에 식상한 현장 근로자들이 실리위주의 현실노선으로 선회함에 따라 연대파업 참가자 수가 급격히 줄고 있는 추세다. 노동부는 이날 연대파업에 전국 1백2개 사업장 5만4천여명이 참여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 이는 민주노총이 주장한 9만여명의 60%에 불과한 수치다. 이미 파업 중인 현대자동차(3만2천9백83명)와 씨멘스VDO한라(2백58명), 만도(2천1백20명), 한국합섬(7백45명)을 제외하면 신규 파업 돌입 근로자 수는 1백개 사업장 2만여명이라고 노동부는 설명했다. 국내 최대 산업단지이자 노동운동의 산실인 울산에서도 민노총의 지도력 약화는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당초 2일 총파업 적극 동참의사를 밝혔던 현대차 노조가 주야간 4시간 부분파업으로 파업수위를 대폭 낮추는 등 울산지역의 파업 분위기는 상당히 위축되는 모습이다. 이날 오후 남구 신정동 태화강 둔치에서 민주노총 울산본부가 개최한 '총력투쟁 결의대회'에서도 조합원들의 이탈현상이 두드러졌다. 광주와 전남지역 사업장에서도 상황은 비슷했다.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은 지난 6월 광양에서 열렸던 경제자유구역 반대 동조파업 때에도 정상근무를 하며 일부 노조 집행부만 집회에 참석했었다. 민주노총 광주전남본부도 이날 오후 3시부터 가질 예정이었던 광주역앞 집회와 광주역~금남로까지의 가두행진 등을 모두 취소하기도 했다. 노동전문가들은 이달부터 본격화되는 임단협 투쟁에서 민주노총의 지도력이 예전만 못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노동부 관계자는 "철도사태가 마무리되고 민노총 총파업이 사실상 끝남에 따라 하투가 이제는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김태철 기자 synerg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