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불량 '악성화'] '해결 방법 없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번에 처음 확인된 '다중 신용불량자 현황'을 분석해 보면 신용불량자 문제 해결의 실마리도 어느 정도 찾을 수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우선 다중 신용불량의 늪에 빠지기 직전의 사람들부터 '대환대출'(연체금을 장기에 나눠 갚도록 하는 대출)을 통해 구제해야 한다는 것.
지난 5월말 현재 1개 금융회사 대출만 연체해 신용불량자가 된 사람은 1백1만2천8백43명이다.
전체 신용불량자(3백15만3천5백35명)의 32.1%다.
이들도 시간이 흐르면 다중 신용불량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신용불량자를 줄이는 대책은 이들에게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민주당 조재환 의원은 "다중 신용불량자가 아닌 사람들만이라도 대환대출로 구제하면 신용불량자를 30% 줄일 수 있다"며 "더구나 연체금이 1천만원 미만인 신용불량자가 전체의 절반인 것을 감안하면 대환대출의 필요성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금융회사별로는 저축은행과 할부금융사가 더욱 적극 대환대출에 나서야 한다.
지난 1년간 신용불량자가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 곳은 외국은행(증가율 1백75%) 생보사(1백52%) 저축은행(1백49%) 할부금융사(1백46%) 손보사(1백30%) 등이다.
이 중에도 특히 저축은행과 할부금융사는 신용불량자 수가 각각 39만명과 74만명이나 된다.
전문가들은 따라서 저축은행과 할부금융사가 대환대출에 적극 나서도록 금융당국이 유도하는 한편 추가로 부실대출을 일으키지 않도록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