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재건축 조례 개정으로 약 3만2천여가구의 신규 아파트 공급이 최소 3년 이상 지연돼 향후 서울지역 아파트값 상승의 압박 요인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7일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지난 81년∼84년 사이에 지어진 아파트 10만6천여가구가 조례개정으로 재건축 추진이 늦어질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이들 재건축아파트가 30% 가량의 추가용적률을 적용받아 공급하게 될 약 3만2천가구의 신규 분양 물량시기도 늦춰질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최저연수인 20년을 적용할 경우 84년에 지어진 아파트도 올해부터 재건축 추진이 가능했으나 조례개정으로 80년대 아파트는 1년 경과 때마다 2년씩 허용연한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그동안 재건축사업이 추진돼온 81년∼84년 아파트의 재건축사업이 무더기로 연기될 전망이다. 스피드뱅크측은 당장 재건축이 예상됐던 81년에 준공된 1만7천9백93가구를 포함,총 10만6천여가구의 재건축사업이 현재보다 최소 3년 이상 지연될 것으로 분석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