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노조 '제몫챙기기'] 日노조, 경제사정 감안 임금 동결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기업 임금 수준이 부담스러운게 사실입니다."
노무현 대통령이 지난달 말 전국 지방노동관서 근로감독관들을 청와대로 초청한 자리에서 "노동문제 때문에 경제가 안된다고 하는데…"라면서 한 말이다.
노 대통령의 지적처럼 대기업 근로자들의 임금 수준은 기업경영은 물론 나라 경제 운영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선진국 노조들은 '나라 경제나 기업경영 사정을 감안해 임단협을 벌인다'는 원칙을 세워놓고 있다.
임금 인상을 목적으로 파업을 벌이는 경우는 거의 없다.
전년도의 경영실적과 물가상승률, 경제성장률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합리적인 수준에서 임금 인상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만 더 받으면 된다'는 노조 이기주의에선 탈피한지 오래다.
올해 초 임금을 동결키로 한 일본 도요타자동차 노사의 결정은 매년 협상철만 되면 무리한 요구를 하며 밀어붙이는 국내 대기업 노조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지난 2001년에 1조엔(10조원 정도) 이상 순익을 내고도 기본급을 인상하지 않은 도요타자동차는 올해도 1조엔 가량의 순익을 올렸으나 노조 요구로 임금을 동결했다.
"생활비 상승 요인이 없는 데다 회사의 국제경쟁력을 유지해야 한다"는게 노조측 설명이다.
미쓰비시중공업 노사 역시 지난해 이익이 발생했지만 보너스만 1백% 올리고 기본급은 동결키로 합의했다.
독일 네덜란드 등 유럽기업들의 임금인상률은 대부분 2∼3%대에서 주로 타결되고 노사간 임금인상 요구율 격차도 1%가 안된다.
우리나라 노동계처럼 경영실적이 나빠 회사가 문을 닫을 지경인데도 두자릿수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노조는 존재하지 않는다.
윤기설 노동전문기자 upyk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