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과 후진타오 국가주석은 7일 정상회담에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비핵화에 대해 인식을 같이 하고,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재확인했다. 이런 선상에서 한반도에서 평화와 안정을 확보하는 방안이 협의됐으며, 한ㆍ중 양국의 관계를 더욱 긴밀하게 개선해 나간다는 방침이 천명됐다. 그러나 북핵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방법에서는 양국의 입장차가 드러났다. 노 대통령은 "최근 관련국 간에 논의되고 있는 확대 다자회담(5~6자 회담) 개최를 위해 양국이 노력해 나가자"고 제안했으나 후 주석은 "그 점에서는 앞으로 협의를 계속해 나가자"며 유보적인 답변을 했다. 미국 주도로 북핵 해결을 위한 다자간 협의가 진행 중이고, "북핵문제의 조기 해결을 위해서는 회담 등의 형식에 얽매일 필요가 없다"는 우리 정부의 주장과 달리 중국은 앞서 했던 대로 중국 중심의 북ㆍ미ㆍ중 3자회담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대목이다. 라종일 국가안보보좌관은 이와 관련, "북핵문제를 풀기 위한 큰 원칙에 합의한 것이 의미있으며, 세부 표현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며 "뒤이어질 외교장관 및 실무자 회담을 통해 풀어 나갈 사안"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청와대가 회담 전에 준비해온 자료에는 '확대 다자회담 개최를 위해 양국이 노력하는'이라는 표현이 들어가 있었는 데도 회담 후 브리핑에서 라 보좌관이 이 부분을 제외해 양측이 의견 접근을 이루지 못했음을 드러냈다. 노 대통령은 회담에서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은 용납할 수 없으며, 평화적이고 외교적인 수단으로 폐기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북한이 상황을 악화시키지 않도록 중국측이 적극적인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노 대통령은 "지난 4월 베이징에서 열린 북한과 미국 중국의 3자회담을 위한 중국 정부의 노력이 중요했다"면서 "중국 정부가 건설적인 노력을 경주해 달라"고 당부했다. 후 주석은 이에 긍정적인 답변을 했다. 양국 정상은 "베이징 3자회담으로 형성된 대화의 모멘텀을 관련 당사국들의 노력을 통해 살려 나가자"는 의견도 나누었다. 양국은 지난 92년 8월 수교 이후 11년 만에 '전면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발전시켜 나가기로 합의했다. 98년 김대중 전 대통령이 '21세기 한ㆍ중 협력 동반자 관계'를 설정한데 이어 2000년 10월 주룽지 총리 방한 때 '전면적인 협력 관계'에서 조금 발전한 관계다. '전면적 협력 동반자 관계'(3단계 수준)는 중국이 대외관계에서 최고 수준인 '동맹관계'(5단계 수준)나 '전통적 우호협력 관계'(4단계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이전의 한ㆍ중 관계에 비해서는 다소 나아간 것이다. 양국 관계는 지난 92년 수교 때 경제 및 통상 분야에서 출발, 정치 군사 문화 지역협력 등 모든 분야로 확대 발전돼 왔다고 양측은 긍정 평가하고 있다. 베이징=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