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넘쳐나는 자금으로 고민에 빠져 있다. 포스코는 지난 상반기 중 3천8백억원의 차입금을 상환하고도 현금보유액이 1조8천억원으로 연초보다 5천억원이나 늘어났다. 영업이익은 지난달 말까지 1조3천9백억원을 기록,올해 목표의 60%를 달성했다. 이런 추세라면 사상 처음으로 3조원 돌파도 무난하리라는 전망이다. 직원들에게도 푸짐한 경영성과급을 지급했다. 포스코는 10일 사원들에게 작년의 2.5배인 2백50%의 경영성과급을 지급했다. 올해 성과급 지급 범위를 영업이익의 4.5%에서 5.5%로 늘린 포스코는 하반기에도 비슷한 수준의 성과급을 지급할 예정이어서 1천5백억원 이상을 '특별 보너스'로 나눠줄 전망이다. ◆고심하는 포스코=자금은 넘쳐흐르는데 철강에 이은 마땅한 신규 사업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게 포스코의 고민이다. 올해 초 에너지 사업 확대를 위해 한국전력 산하 발전자회사인 남동발전㈜ 인수전에 뛰어들었지만 사업성이 떨어지고 한전 민영화 자체가 표류하면서 무산됐다. 에너지 정보기술(IT) 바이오 등 신성장 사업에 대한 방향은 나와있지만 사업화를 위한 적극적인 투자는 아직 이르다는 판단이다. 포스코는 이에 따라 사업 다각화보다는 철강부문의 고부가가치화와 재무구조 개선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일단 하반기에는 9천억원을 상환,차입금을 3조원 밑으로 떨어뜨린다는 계획이다. 중국에 고로를 건설하는 것을 포함,투자 규모와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삼성증권 김경중 연구위원은 "미국과 일본 철강업체들도 에너지 엔지니어링 반도체 등 신규사업에 뛰어들었지만 대부분 실패했다"며 "포스코도 현재로서는 철강이라는 핵심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 외에 뾰족한 대안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업체는 확장전략=포스코를 제외한 동국제강 세아제강 동부제강 현대하이스코 등은 풍부해진 자금 여력을 기반으로 설비확충과 인수합병(M&A)을 통한 덩치키우기에 나서고 있다. 동국제강은 그룹 차원에서 컬러강판 표면처리사업을 강화한다는 전략에 따라 하반기 중 법정관리기업인 동신특강 인수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이미 유니온코팅이라는 자회사를 설립했다. 현대하이스코도 최근 한보철강 당진공장 압연강판 설비를 3백80억원에 인수,덩치를 키우고 있고 주력사업인 자동차 강판분야에도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세아제강도 기아특수강 인수를 통해 철강 전문그룹의 위상을 확고히 다진다는 방침이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