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지난 70년대 후반과 80년대 중반에 이어 90년대 후반부터 최근까지 세 번의 집값 상승기가 있었다. 상승률은 시기별로 연평균 3.8∼4.5%에 달했다. 미국 역시 집값 상승기에는 국내총생산 증가가 선행됐고,2000년 이후에는 '저금리'가 집값을 밀어올리는 대표적 요인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집값 거품에 대한 논의도 꾸준하지만 거품 존재여부보다는 향후 집값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특히 영블러드 방식(개인소득 대비 주택가격의 상관관계로 거품여부를 판단)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현재 미국의 2백10개 대도시권 중 캘리포니아주 주요 도시를 포함해 뉴욕 보스턴 마이애미 오클랜드 오렌지카운티 샌디에이고 등 최소한 20개 권역에서 거품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미국정부가 이같은 거품 존재를 근거로 대책을 수립하지는 않았다. 가격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보다는 오히려 자가 보유율 확대,시장 효율성 제고,저소득층 주거수준 제고를 기본 정책 방향으로 삼고 있다. 특히 금융시스템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주택담보비율(LTV)이 높은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줄이기 위한 장기주택금융 등 제도적 기반을 구축해 왔다. 보고서는 주택공급이 비탄력적일수록 가격 변동폭이 크고,규제 강도가 높을수록 집값 상승률이 높을 뿐 아니라 장기 균형가격으로 되돌아가는 속도가 느리게 나타난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따라서 주택수요 변화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급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교훈을 준다고 보고서는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