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증시에 한국이 없다.' 굿모닝신한증권 정의석 투자분석부장이 15일 발표한 보고서의 제목이다. 한국증시의 주인은 사살상 외국인이며,증시에서 살아남는 방법은 주인(외국인)을 추종하는 것뿐이라는 주장이다. 정 부장은 외환위기 이후 한국증시에서 외국인투자자의 베팅 성공률은 90% 이상을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경제위기 이후 9차례의 외국인투자자 중심 장세에서 외국인은 평균 57일(거래일 기준) 동안 4조원 안팎의 자금을 집중 투입해 종합주가지수를 평균 43% 끌어올렸다. 다시 말해 주가를 큰 폭으로 끌어올리고 차익을 실현,막대한 이익을 거둬들였다는 것. 올 상반기 기준으로 외국인의 한국 주식 지분율은 14.7%에 불과하지만 시가총액 대비 비중은 35.5%에 이를 정도로 고가의 주식을 대거 보유하고 있다. 주가가 5만원 이상인 주식의 외국인 지분율은 33.01%이고 외국인 지분이 30%를 넘은 주식의 평균 주가는 10만3천81원이다. 정 부장은 외국인의 영향력이 큰 이유로 △집단화되고 통일된 매매 형태에 따른 장세 주도력 확보 △특정 시기에 거대 자금을 투입하는 시세 주도력 형성 △정보력의 우위 △외국인 매매 형태의 추종에서 비롯되는 시세 주도력 강화 등 네 가지를 꼽았다. 조주현 기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