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평 : 15평' 산 자(者)와 죽은 자에 대한 주거공간(?) 비교수치이다. 우리 국민의 1인당 평균 주거공간이 4.3평임에 비해 묘지는 평균 15평이라는 통계는 묘지가 국민 1인당 주거면적의 3.5배에 이른다는 뜻이다. 해마다 여의도 면적만큼의 국토가 죽은 자를 위한 공간으로 잠식되고 있고 대부분 산이나 숲을 파괴하기 때문에 생태나 환경 측면에서도 문제점을 야기시켜 왔다. 통계에 따르면 남한 국토의 1% 가량이 묘지로 뒤덮여 있고 묘수로는 2천만기를 넘어섰다. 이 중 40% 정도는 아무도 찾지 않는 무연고 묘지라는게 보건복지부의 통계다. 근래 들어 사회지도층 인사들의 화장 유언으로 촉발된 장묘문화 개선운동은 시민ㆍ종교단체 등이 합세하면서 공감대를 넓혀나가고 있다. 이같은 흐름은 보건복지부 여론조사에서도 나타난다. 보건복지부와 국정홍보처가 지난해 추석 전후 전국 20~60대 1천명을 대상으로 '장묘문화'에 관한 의식을 전화설문 조사한 결과, 본인 사망때 응답자의 69%가 화장, 28.8%가 매장을 각각 희망한 것으로 나타나 화장선호도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장묘문화의 현주소와 늘어나는 화장에 따른 장묘산업 전망 등에 대해 알아본다. ◆ 장묘문화 현주소 =조선조 이래 유교적 전통에 기초한 매장문화는 한동안 우리사회를 지배해온 관행이었다. 그 결과 2천만기를 넘어선 분묘 수는 인구 절반에 해당하는 수치다. 거기에 해마다 20만기 내외의 분묘가 새롭게 조성된다. 한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에서는 수년, 전국적으로는 10년 이내에 집단묘지 공급이 한계상황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2050년이 되면 국토 어디에도 묘지를 쓸 수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매장문화에 대한 반성에서 비롯된 장묘문화 개선운동은 근래 들어 화장유언 남기기 등으로 촉발돼 사회 지도층급 인사들이 연달아 이 운동에 동참하고 관련 시민, 종교단체 등이 합세하면서 그 세를 넓히고 있다. 실제 시민단체는 물론 불교, 천주교 등 종교계가 화장 확장운동에 나서면서 화장률이 꾸준하게 오르고 있다. 전국의 화장률은 1991년 17.8%에서 99년 30.3%, 2001년 38.5%, 지난해 40%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울산과 부산이 각각 64%, 62%로 전국에서 높은 지역으로 꼽히고 서울은 지난해 58% 정도로 추산된다. 박복순 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사무총장은 "전국 어디에나 묘지로 뒤덮여 있는 묘지천국, 금수강산이 아닌 묘지강산이 바로 우리의 현 실정"이라고 꼬집고 "화장에 대한 기존의 부정적 인식이 많이 개선되고 있어 매장 위주의 장묘문화가 개선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화장만능론'만 있는 것은 아니다. 상당량의 유류를 써야 하는 화장은 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와 화석에너지 고갈을 걱정해야 한다는 면에서는 그것이 정답만은 아니라는 주장도 나온다. ◆ 부상하는 장묘산업 =화장 비율이 급격히 늘면서 납골당, 특히 사설 납골당이 우후죽순처럼 등장해 장묘산업이 유망업종으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전국적으로 운영중인 납골당은 1백여곳에 이른다. 이중 경기도의 11곳을 포함, 서울ㆍ인천ㆍ대전ㆍ충남 등 10개 시ㆍ도의 36곳이 사설 납골당이다. 2001년 1월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면서 사설 납골당의 설치ㆍ관리가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바뀌면서 늘어나기 시작, 향후 사설 납골당은 현재 추세로 보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시민단체 한 관계자는 "화장, 납골장려정책 추진으로 화장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일부 시ㆍ도 및 시ㆍ군ㆍ구만 설치하는 등 공립납골당 추진실적이 아직 저조한 실정"이라고 말하고 "공ㆍ사설 납골당 시설 이용료가 심하게는 10배 이상 차이가 나는 등 문제점도 있으므로 사설에만 의존할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별로 장사시설 중장기 수급계획을 수립해 적극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