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초 코스닥에 등록된 엔터기술 이경호 대표(44)는 세계 각국의 유행 음악과 음악적 정서를 꿰뚫고 있는 '음악CEO'다. 그는 지난 98년 마이크처럼 간편하게 생긴 휴대용 노래반주기 '매직싱'을 개발,수출하고 있다. 마이크 안에 장착된 칩에 수천곡의 노래가 담겨 있어 텔레비전이나 오디오에 연결하면 즉석 노래방이 된다. 매출(지난해 2백81억원)의 95% 이상을 해외 22개국에서 올릴 정도로 해외에 더 많이 알려진 그는 이제 코스닥업체 사장으로서 성공한 기업인이 됐다. 하지만 오늘이 있기까지 이 사장에겐 남모른 어려움이 많았다. 친구들이 졸업할 나이에 한성대 경영학과에 입학한 그는 나이가 많아 취직이 어려워 직원 5명의 작은 회사에 들어갔다. 그러나 회사가 곧 문을 닫아 94년 주위 자금을 빌려 노래반주기 회사를 차렸다. 기술자 4명과 함께 밤낮으로 연구개발에 매달렸으나 시장은 만만치 않았다. 수입은 들어오지 않고 빚은 늘어만 갔다. 돈 빌려주기를 꺼리는 주위사람들은 그의 전화조차 받으려 하지 않았다. "너무 힘들어 96년에는 그만 둘 생각도 했습니다.하지만 일을 그만두면 빚만 남기 때문에 성공할 때까지 해보자고 결심했죠." 98년 제품은 출시됐다. 그러나 선뜻 사겠다고 나서는 사람이 없었다. 그나마 외주생산하다보니 이윤은 거의 남지 않았다. 다행히 기술력은 인정받아 이듬해 투자유치에 성공한 그는 유치자금으로 자체생산공장을 지었다. 그리고 해외시장 개척에 나섰다. 광고비가 모자라 주말마다 미 캘리포니아주의 한 관광지에서 열리는 벼룩시장에 부스를 마련,'약장수 마케팅'을 펼쳤다. 고객들이 직접 노래를 부르게 해 흥미를 자극하자 처음엔 외면하던 사람들이 몰려들기 시작했다. '매직싱'부스는 1만5천여개 벼룩시장 부스중 가장 인기있는 곳이 됐다. 입소문이 퍼지자 제품 구입문의와 대리점 희망자가 잇따랐다. 미국인들의 파티문화를 겨냥한 전략이 맞아떨어지면서 주문이 밀려들기 시작했다. 2000년부터는 일본 산요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최규술 기자 kyus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