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해 한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해외에선 "한국과 FTA를 체결하자"는 적극적인 제의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25일 청와대에서 열린 한·뉴질랜드 정상회담에서 헬렌 클라크 뉴질랜드 총리는 "양국간 FTA를 체결하자"고 적극적으로 제안했다. 클라크 총리는 "뉴질랜드는 농업분야에서 경쟁력을 지니고 있다"며 "양국의 노력과 함께 뉴질랜드 한국 싱가포르 칠레 등 4국이 '4각FTA'를 체결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을 제의했다. 이에 대해 노무현 대통령은 "한국에서는 농업분야가 상당히 민감한 문제인 데다 농촌 주민의 농업소득 비중도 커 보완책을 마련하면서 시간을 두고 협의하자"고 답변했다. 일본도 한국과의 FTA체결에 매우 적극적이다. 지난 달 노 대통령의 일본방문 때도 "기왕 FTA 체결 방침에 서로 합의했으니 언제부터 협상을 시작할지 분명히 못을 박자"고 촉구했다. 한국 정부는 이에 대해 "시기는 좀 더 연구해보자"며 피해가는 분위기였다. 국내에선 한·칠레간 FTA를 체결해 놓고도 정치권의 소극적인 태도로 국회비준 절차를 마치지 못해 정부간 합의가 자칫 무위에 그칠 가능성도 있다. 대다수 국내 전문가들은 "무역이 경제발전의 엔진인 한국으로서는 세계적인 FTA조류를 피해갈 수가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지난 23일 청와대에서 노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민경제자문회의 통상관련 회의에서도 민간전문가들과 정부당국자들은 이 점에서 한 목소리를 내면서 적극적인 경제개방 정책을 다짐했다. 앞으로 세계무역기구(WTO) 체제하에서 중국 싱가포르 등 아시아 각국을 비롯 곳곳에서 FTA를 체결하자는 제안을 받게 될 전망이다. 그러나 한국은 아직 어느 나라와도 FTA를 체결하지 않는 '나홀로 무역개방국'이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