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행정수도연구단이 제시한 행정수도 이전 대상 연구결과는 향후 수도권에 미칠 정치ㆍ경제ㆍ사회적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보고서가 정부안으로 채택될 경우 현재 서울과 과천 등 수도권에 몰려있는 중앙 행정기능의 90% 이상이 충청권으로 옮겨가는 등 주요 국가 기능의 대부분이 수도권을 빠져 나가기 때문이다. 더욱이 대기업과 금융회사 등까지 정부기관을 따라 이전할 가능성이 높아 자칫하다간 서울의 공동화(空洞化) 현상까지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연구단은 지난달 내놓은 '행정수도 이전 파급효과' 보고서에서 행정수도를 옮길 경우 △중앙부처와 일부 소속기관 공무원 1만7천명이 충청권으로 이전하면 2030년까지 수도권 인구는 38만명(1.5%) 줄고 △정부투자ㆍ출연기관 등을 합쳐 공공부문 종사자 5만명이 옮기면 수도권은 1백22만명(4.8%)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실제 수도권 인구 감소폭은 이보다 훨씬 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허재완 중앙대 교수는 "행정수도 이전이 지금과 같은 수도권 집중현상에는 제동을 걸겠지만 수도권 인구가 4.8% 감소하면 해당지역 부동산시장 등에는 상당한 충격이 올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가 국가기관 외에 수도권에 몰려있는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을 강력 추진하고 있다는 점도 또 다른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번 보고서도 공공기관의 경우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검토 중인 방안과 연계해 행정수도 이전 대상을 결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이와 관련, 정부는 연말까지 2백44개 공공기관 중 이전 대상을 선정ㆍ발표할 계획이다. 다만 연말에는 지방 이전과 수도권 잔류 대상으로만 구분하고, 내년 이후에 기관별로 구체적인 입지를 정하는 순서를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중앙 행정기관과 공공기관이 신행정수도로 옮겨갈 경우 서울에 몰려 있는 금융회사 및 대기업 본사 등 민간부문도 대거 수도권을 빠져 나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수도권은 동북아 경제중심, 신행정수도는 행정기능과 국제교류ㆍ교육ㆍ연구도시로 육성하겠다는 것은 자칫 양쪽 모두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번 연구결과는 향후 수도권의 '집중 완화'와 '공동화'에 대한 논란을 더욱 뜨겁게 달구는 촉매제로 작용할 전망이다. 강황식 기자 hiskang@hankyung.com